동서 문화의 융합

 1  동서 문화의 융합 -1
 2  동서 문화의 융합 -2
 3  동서 문화의 융합 -3
 4  동서 문화의 융합 -4
 5  동서 문화의 융합 -5
 6  동서 문화의 융합 -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서 문화의 융합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동서 문화의 융합
▶중국사회의 시대적 배경
무술시기의 변법유신은 당시 중국이 직면했던 내우외환의 새로운 정세 하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1894년에 갑오전쟁이 발생하였으며, 당시 세계는 자본주의가 제국주의 단계로 진입하는 시기였다. 이러한 자본주의 국가들은 이미 세계의 영토분할을 진행해 가는 시기였으며, 제국주의의 이러한 모습들에 의하여, 민족해방운동들이 촉진되어 가고 있었다. 이러한 시기에 제국주의국가간의 원료산지, 노동력 쟁탈이 격렬해지고, 세계를 새로이 분할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중국과 일본간의 갑오전쟁은 제국주의 열강의 세계 분할이 극동에서 나타나게 되는 모습이었다. 갑오전쟁의 패배로 인해 중국은 중국의 영토 할양, 배상금 지불, 통상항구 개방, 자본투자 허가 등을 허용했다. 여러 열강들은 이 일을 계기로 자신들의 세력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중국을 분할하려는 시도를 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갑오전쟁 후 국내에서 여러 계급간의 갈등들도 심화되었다. 이와 동시에 양무파의 운동들이 갑오전쟁을 전후하여 실패함에 따라, 청 정부는 여러 민간자본 투자에 대하여 제한을 풀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개혁 요구들이 나타남에 따라 실제적인 정치활동이라 할 수 있는 변법운동이 급속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강유위
강유위(1858~1927)의 이름은 조이(祖), 자는 광하(廣厦), 호는 장소(長素)이며 광동 남해 사람으로 봉건지주, 관료가정 출신이다. 청년시절에 남해현의 이학가인 주차기를 스승으로 삼았다. 그의 사상에 직접 영향을 받아 불교, 도교경전을 박람하였으나, “시무(時務)”에 관심이 있었다. 22세 되던 해 홍콩으로 떠나서 여러 서양의 서적을 읽고 당시의 개량주의사조와 서양자본주의적 사상문화를 접하기 시작하면서 그의 시야를 넓혀 나갔다. 청불전쟁(1885)후 열강의 침략과 중국의 유약성을 거울삼아, 변법도강의 요구를 시작하여 1888년 수차례 상서를 올려 변법을 요구하였다. 이어서 금문경학의 “정밀한 논리와 중대한 의미”에 의거하여 여러 저서를 편찬하여 변법유신을 위한 이론적 준비를 적극적으로 실천하였다.
갑오전후 여러 차례 상소를 올리며 변법을 시행 할 것을 주장하며, 광서제를 통해 신법을 포고하였으나, 자희를 우두머리로 하는 봉건 파들의 반대에 의해 변법운동은 실패로 돌아갔으며, 강유위와 양계초는 해외로 도망가고, 담사동 등 유신인사들은 희생당하고 말았다.
▶강유위의 사상
▷변법운동의 특징
변법사조는 근대 진보적 중국인들이 서양에 대항하여 구국의 진리를 탐구한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조는 몇 가지 역사적 특징을 갖는데, 첫째로 애국주의를 주장하고 있다. “나라를 구하여야 한다.”는 민족위망의 목표를 가지는 것이 큰 특징이나, 제국주의에 대한 잘못된 본질 인식에 의해, 애국주의 그 이상의 것으로 발전하진 못하였다고 볼 수 있다. 둘째로, 정치 강령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자산계급의 정치개혁을 진행하여 봉건군주제를 군주입헌제로 바꿀 것을 요구하였다. 이것이야 말로 국가가 자본주의 개혁을 실행하는 근본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양무파와는 분명한 변별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셋째로 유가학설을 기본으로 하는 구학, 봉건주의 구문화를 비판하였으며, 신학, 새로운 학문을 제창하고 자연과학과 사회정치학설 등을 선전하였다.
이러한 특징들은 발전적 과학을 강구하고 구학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서 발전을 이루어 내려는 노력이었으나, 지주자산계급의 한계와 그들의 이론적 기초가 철저하지 못했던 이유로 인해 결국 실패하고 말았다고 볼 수 있다.
▷사회사상-삼세설
강유위는 그의 제자 진천추(陳千秋), 양계초(梁啓超) 등의 도움을 받아 1892년부터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를 편찬하기 시작하여 1898년에 간행하였다. 여기에서 그는 공자를 혁신의 선구자로 삼고, 공자가 ≪육경(六經)≫을 지은 목적은 요순(堯舜)과 같은 고대 성군의 말을 빌려 당시의 사회를 개혁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하였다. 즉 그는 여기에서 공자의 이름을 빌어 변법의 정당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