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대 초,중반의 시단의 흐름과 김기림을 중심으로 본 모더니즘과 이미지즘

 1  30년대 초,중반의 시단의 흐름과 김기림을 중심으로 본 모더니즘과 이미지즘 -1
 2  30년대 초,중반의 시단의 흐름과 김기림을 중심으로 본 모더니즘과 이미지즘 -2
 3  30년대 초,중반의 시단의 흐름과 김기림을 중심으로 본 모더니즘과 이미지즘 -3
 4  30년대 초,중반의 시단의 흐름과 김기림을 중심으로 본 모더니즘과 이미지즘 -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30년대 초,중반의 시단의 흐름과 김기림을 중심으로 본 모더니즘과 이미지즘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서론
20세기 초반의 우리나라는 식민지의 시기였기에 문학의 발달이 늦을 수도 있었겠지만, 근대화로 인한 급속한 서구문물과 여러 문학에 대한 이론들도 한꺼번에 들어온 시기라 볼 수 있다. 그리고 30년부터 해방되기 전까지가 식민지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발전을 이룩한 시기라 생각한다. 그러한 시기에 우리나라의 시 문학은 어떤 흐름을 가지고 발전을 하고 있었을까?
30년대 초반에 나타난 시문학파와 그 후 30년대 중반의 모더니즘을 살펴보자. 김기림의 30년대의 두 작품을 통해서 그의 모더니즘과 이미지즘에 대하여 더 알아보도록 하겠다.
본론
30년대 초반은 한국의 시와 시단이 종전의 미숙함을 극복해보고자 노력하던 시기였다. 또한 카프 계열의 문학 운동이 일제의 검열과 사상 탄압으로 약화되었다. 그리고 카프 계열의 시가 보여주던 선전ㆍ선동 위주의 전투적 시와 도식적이고 이념 지향적인 경향에 반발을 느껴왔던 사람들이 새로운 방향의 시를 쓰기 시작하면서 서정시가 나오게 되었다. 그러면서 대표적으로 시문학파가 등장하게 되었다.
1. 시문학파
시문학파는 작품을 이데올로기를 위한 수단으로 보는 프로 문학 운동에 대항하여, 이데 올로기가 배제된 참다운 시, 즉 순수한 서정시를 쓰고자 하는 일군의 시인들에 의해 만들 어졌다. 이들이 주장한 순수 문학이란 문학을 주제 의식으로부터 해방시켜 문학 자체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했다. 또한 이들은 시어에 대한 자각을 구체화하여 시가 마땅히 표현해야 할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기 시작했으며 가장 적당한 표현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탐구하기 시작함으로써 시적 언어를 가다듬는 시인의 역할을 중시하였다. 박용 철은 평론으로 이들 시문학파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했으며, 김영랑은 실제적인 작품 활동 을 통해 시문학파의 시가 우리 시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게 하였다. 이들은 언어를 매우 엄격하게 선택하고 참신한 감각적 표현을 위한 방법론을 탐색했으며, 세련된 기교를 사용하여 한국시에서 진정한 의미의 순수시의 영역을 구축하였지만 지나치게 문학 의 형식적 측면에 치우쳐 시대적 현실을 도외시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시문학파가 주도하던 30년대 초반 김기림은 I. A. 리처즈의 주지주의(主知主義) 문학론 에 근거한 모더니즘의 새로운 경향을 소개하면서 시문학파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하였다.
2. 모더니즘
모더니즘은 20세기 초, 특히 1920년대에 일어난 표현주의·미래주의·다다이즘·형식주의 등의 감각적 ·추상적 ·초현실적인 경향의 여러 운동을 가리켜 말한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이와 같은 여러 운동을 통틀어 모던 아트(modern art)라고 말하는 경향이 많으나, 이것을 대국적인 견지에서 말한다면 19세기 예술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사실주의(리얼리즘)에 대한 반항운동이며, 제1차 세계대전 후에 일어난 전위예술(前衛藝術: 아방가르드) 운동의 한 형태였다.
한국 문학에서는 1931년경 프로문학의 퇴장과 일제강점기 군국주의의 대두를 계기로 나타났으며, 일명 주지주의라고 일컬었다. 이론적인 배경 하에서 시작활동이 행해지고 또 비평이 함께 시도된 그런 시운동은, 한국에서는 아마도 1930년대의 모더니즘 시운동이 그 최초가 될 것이다. 채만묵, [1930년대 한국 시문학 연구] (한국문화사, 2000) p.56
한국의 모더니즘은 김기림이 시의 낭만주의적 요소를 배격하고 시작(詩作) 자체의 의식성의 강조를 주장하면서 형태화한 주지 주의적 이미지즘. 그리고 이상의 작품에서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형식의 파괴, 그리고 현실 부정을 나타내는 초현실 주의로 나누어진다.
1) 이미지즘
참고문헌
참고 문헌
채만묵(2000) [1930년대 한국 시문학 연구], 한국문화사
김성권 외(1992) [현대시 노트], 동녁
김윤정(2005) [김기림과 그의 세계], 푸른사상
참고 논문
이국제(1999) [김기림의 장시의 텍스트 언어학적 연구], 공주대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