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대 전반기 시론

 1  30년대 전반기 시론-1
 2  30년대 전반기 시론-2
 3  30년대 전반기 시론-3
 4  30년대 전반기 시론-4
 5  30년대 전반기 시론-5
 6  30년대 전반기 시론-6
 7  30년대 전반기 시론-7
 8  30년대 전반기 시론-8
 9  30년대 전반기 시론-9
 10  30년대 전반기 시론-10
 11  30년대 전반기 시론-11
 12  30년대 전반기 시론-12
 13  30년대 전반기 시론-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30년대 전반기 시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30년대 전반기 시론
1. 서 론
2. 기교주의 논쟁의 의미와 위상
2.1. 낭만주의의 재평가와 수용
2.2. 기교주의와 기술의 개념
3. 박용철 시론
4.임화의 시론
4.1. 임화의 리얼리즘론
4.2. 박용철과 임화의 기교주의 논쟁
5. 1930년대 주지주의 시론
5.1. 사물의 본질 탐구와 ‘말’의 발견
5.2. ‘~학’으로서의 과학과 비평의 체계화
5.3. 문학의 정치성 강조
6. 결 론
*참고문헌
1. 서 론
본 조는 김기림 임화 박용철의 시론을 개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1930년대 시론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피려 한다. 여기서 시도하는 구조적 연구의 주된 관점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기림 임화 박용철이 자신의 시론을 전반적으로 모더니즘리얼리즘유미주의의 영향권 하에서 추구한 것은 인정할 수 있으나, 모더니즘 리얼리즘 유미주의의 사조적 개념이나 원리 등을 먼저 제시하고 그것을 각 비평가의 시론에 대입하거나 관련지우려는 기존 연구의 관행은 재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각각의 개별 시론에 내재하는 사실들에 근거하여 그 특징과 원리를 추출하는 귀납적 방법을 일관되게 시도하고, 그것이 모더니즘 리얼리즘 유미주의와 어떤 관련성과 변별성이 있는지 살피고자 한다. 둘째, 개별 시론의 연구를 전개과정에 따른 시간적통시적 연구와 내재하는 기준을 찾아 그 원리를 규명하는 공간적공시적 연구를 병행하되, 그것을 결합시키는 방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김기림 임화 박용철의 시론 전개과정에서 ‘인식론적 단절’ ‘인식론적 단절’은 알튀세가 바슐라르 Gaston Bachelard의 용어를 차용한 개념이다. 그것은 하나의 이론적 문제설정 안에서 이데올로기로부터 과학으로의 전이를 명시한다. 따라서 전(前)과학적 관념체계와 과학세계 간의 단절을 설명하며, 기존의 준거체계와의 단절 및 새로운 문제들의 구성을 포괄한다(M.Gluksmann, 정수복 역, , 한울, 1983, 136면 참조). 본고에서는 이 용어를 ‘기존의 준거체계와의 단절 및 새로운 문제들의 구성’이라는 넓은 의미로 사용한다.
에 해당하는 (, 1934. 11), (, 1934.4), (, 1935. 12)을 분기점으로 초기 시론과 후기 시론으로 구분한다. 본고의 연구 범위는 1930년대의 시론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김기림임화박용철의 시론 중 1930년대에 제출된 시론을 제시한 분기점을 기준으로 초기 시론과 후기 시론으로 구분하다. 1940년대 이후를 포함하여 김기림 시론 전체를 대상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초기 중기 후기 시론으로 구분하는데, 따라서 본고에서 말하는 후기 시론은 이 경우와는 구별된다.
셋째, 초기 시론과 후기 시론으로 구분된 각각의 대상을 시간적 전개과정에 따라 고찰한다. 넷째, 이를 토대로 초기 시론과 후기 시론의 특징을 추출하고, 다시 이를 포괄하여 개별 시론의 전체적 특징을 하나의 이론적 ‘문제설정’ 알튀세가 자크 마르땡 Jacques Martin에게서 차용했다고 밝힌 ‘문제설정’이란 개념은, 모든 문제와 그 문제들에 연관된 요소들을 제기하는 방식을 결정짓는 개념틀, 혹은 이론구조를 의미한다. 문제들은 특정한 이론, 개념, 방법론을 포함하고 있다. 알튀세는 모든 연구의 결론과 그 연구 결과를 결정하는 것은 바로 근본 문제, 즉 관점이라고 지적한다(Louis Althusser, 고길환이화숙 역, , 백의, 1990, 35면 참조). 즉, 문제설정은 기본 개념들을 연관시키고 그 연관체계 속에서 각각의 개념이 갖는 위치와 기능을 규정함으로써, 각각의 개념에다 그것이 갖는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는 이론적 틀을 의미한다.
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2. 기교주의 논쟁의 의미와 위상
우린 문학사에서 시에 대한 입장의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나는 것은 1930년대의 기교주의 논쟁에서이다. 이 논쟁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 이유는, 첫째로 그 당사자인 김기림 임화 박용철이 자신의 시론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이 논쟁을 계기로 시에 대한 관점과 이론을 체계화하기 때문이다. 둘째로 이런 사실로 인해 한국 근대시론의 전개과정에서 소위 모더니즘 시론 리얼리즘 시론 유미주의 시론이 어느 정도 정립되어, 이후 현대시론의 큰 물줄기를 형성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 기교주의 논쟁은 김기림 임화 박용철의 개별적 시론 전개에 있어서 세 입장과 관점이 상호 교섭하면서 자기를 정립하는 계기가 되는 동시에, 1910년대 이후 형성되고 전개되어 온 한국 근대시론의 제 양상들이 상호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면서 체계화되어, 다시 1930년대 이후의 흐름으로 분화 발전되어가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교주의 논쟁을 논쟁 그 자체를 중요하게 취급하고 연구하는 것은 의미있는 성과를 얻기 어렵다.
1930년대 초 임화의 프롤레타리아 시론이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상황 속에서 김기림은 감상적 낭만주의와 카프의 편내용주의를 비판하면서 정지용 김광균 등의 이미지즘 계열 시인들을 지지하는 주지주의 경향의 시론을 주장한다.
2.1. 낭만주의의 재평가와 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