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1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1
 2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2
 3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3
 4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4
 5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5
 6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6
 7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7
 8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8
 9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9
 10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10
 11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11
 12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12
 13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러일전쟁의 의미 재조명
-지정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목 차 >
1.서론
2.러일전쟁의 배경
3.러일전쟁의 전개
4.당시 국제 역학관계
5.한반도의 지정학적 의미
6.결론
7.참고자료
서론
국가의 존망은 그 국가의 강성함에만 있지 않다. 지형과 지리적 위치 및 운명을 함께하는 국가 등, 수많은 변수가 존재한다. 따라서 현대의 국가들은 자신의 안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타국과의 동맹과 자주적인 국력신장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가지 변하지 않는 사실은 독자적인 안보확보는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특히 각 세력의 국지적인 충돌에서는 단일국가가 해외에 투사할 수 있는 국력은 매우 제한적이므로 현지의 국가, 또는 동일한 전략적 목표를 가지고 있는 국가와 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불어서 전략적 가치가 매우 높다면 이와 같은 양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국가전략에 있어서 최우선 순위의 지리적 위치는 이를 확보하지 않으면 차후 자국의 안보에 지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암시하는 것과 다름없다.
근현대에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수많은 세력충돌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의미를 밝혀준다. 동아시아가 유럽국가의 관심을 받게 되면서 겪어야 했던 침략들은 제국주의국가들의 전선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약소국이었던 조선을 중심으로 많은 열강들이 대치하게 되면서 한반도의 중요성이 각인되었다. 청일전쟁 이후, 조선이 겪어야 했던 수모는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에 기인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쟁탈하기 위한 각 열강의 실력행사는 반대세력의 결집과 대항을 이끌어 내는 결과를 낳았다. 이것이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게 되는 것이 러일전쟁이다. 러일전쟁은 여기에 참전 또는 간섭한 국가간의 전략적 목표 및 전개양상에 극명한 차이가 있다. 물론 이 목표라는 것이 한반도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하지만 한반도에 대한 각국의 입장과 전략은 제각각이었다. 앞서 말한바와 같이 전략적인 목표의 달성을 위한 연합과 전선의 형성을 이루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는 이와 같은 차이에 있다. 이 글에서는 러일전쟁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지정학적으로 풀이하고 한반도에 대한 당시 국가간의 전략적 가치와 대응방법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러일전쟁의 배경
러일전쟁은 1904년 2월 8일에 일본함대가 여순항을 기습 공격함으로써 시작되어, 1905년 9월 5일에 강화를 하게 된 러시아와 일본 간의 전쟁이다. 한국과 만주지방의 분할을 둘러싸고 싸운 것이지만, 그 배후에는 영일동맹과 러시아프랑스 동맹이 있었고, 제1차 세계대전의 전초전이었다. 러시아는 패배의 결과로 혁명운동이 진행되었고, 일본은 전승으로 한국의 지배권을 확립하고, 만주 진출이 확정되었으나 미국과의 대립이 시작되었다.
독일과 프랑스를 끌어들여 삼국간섭에 의하여 일본의 만주 진출을 저지한 러시아는 1896년에는 러청 동맹밀약을 맺고 일본이 중국·한국·극동 러시아령을 침략할 경우 상호원조할 것을 약속, 만주 북부를 관통하여 블라디보스토크에 이르는 동청철도부설권을 획득하였다.
3국 간섭 이래 국제적으로 고립되었던 일본은 그러나 경제적으로는 일본이 여전히 한국을 독점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다. 청일전쟁 후 조선의 대외무역에서 일본은 수입의 60~70%, 수출의 80%를 차지함으로써 우세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권면에서도 열강에 분할되는 이권을 최혜국대우 조항에 의해 획득하거나 위협함으로써 확보해 갔다.
한편으로는 조선에 대한 경제적 지위를 확실하게 굳히면서 이를 군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대 러시아 전쟁을 상정한 군비확장에 주력했다. 일본은 청국으로부터 받은 전쟁배상금 3억 6,000만 엔 중 2억 2,000만 엔을 군비확장에 사용하고, 1896~1903년 예산세출의 평균 5할을 군비로 충당했다. 그러나 일본은 독자적인 힘으로 러시아와 싸워 승리할 자신이 없었기 때문에, 아시아에 대한 영국·미국의 이권을 지키는 헌병 역할을 스스로 떠맡고 나섰다. 이로써 영국과 미국으로부터 외교적·군사적 지원을 받았을 뿐 아니라, 러일전쟁의 막대한 전비 17억 엔 중에서 8억 엔을 영국과 미국에서의 외채모집으로 보충했다. 그리고 1900년 청나라의 의화단사건 진압에 참가하게 되면서 드디어 열강의 대열에 끼어들었다. 그러나 일본은 아모이 출병에 실패하고, 중국 본토에 대한 이권 획득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사태에 대처하기 위한 일본의 외교책으로서 러시아와의 타협을 모색하려는 러·일협상론과 영국과 제휴하여 러시아 견제를 노리는 영국 일본동맹론이 대립되었고, 결국 1902년 1월 영·일동맹이 성립되어 러시아와의 대립이 명확해졌다. 1902년의 영일동맹 체결은 일본의 외교적 성공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영국와 미국은 공식적으로는 중립을 유지하면서도, 민간 자본 제공등의 방식으로 일본의 전쟁 분비와 수행을 지원했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때문에 그해 10월 러시아는 의화단운동 이후의 만주 주둔군의 제1기 철병을 수행하였으나, 이듬해 4월의 제2기 철병은 보류한 채 만주의 독점적 지배는 물론, 압록강 연안에 진출하여 남하정책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그리고 직접적인 원인은 러시아의 강경한 태도에 위협을 느낀 일본 국내에서는 주전론과 반전론으로 국내 여론이 양분되는 듯하였으나, 세론의 대세는 차차 주전론으로 기울어져가고 있었다. 1903년 6월 23일 정부의 주요 각료·원로들의 어전회의는 한국에 대한 일본의 우선권과 만주에 대한 러시아의 우선권을 각각 인정하는 만·한교환론에 의한 대러시아 교섭을 결정하였다.
러시아는 이에 대해 8월 극동총독부를 설치하여 일본에 대응하였고, 그 후 여러 차례에 걸친 양국의 교섭은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해를 넘겼다. 그 동안 일본에서는 육군을 중심으로 전쟁준비가 진척되었으나, 그것은 일본의 경제력에 비추어 군사행동을 남만주에 한정한다는 전제에 입각한 계획이었다. 그리고 전쟁에 앞서 대한제국정부는 1904년 1월 21일 국외중립을 선언하고 열국에게 통고했다. 그러나 일본군은 이를 무시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