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1  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1
 2  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2
 3  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3
 4  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4
 5  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5
 6  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6
 7  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7
 8  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8
 9  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9
 10  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회별신굿놀이, 봉산탈춤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서 전승되어 오는 민속 탈춤
지정번호 : 중요무형문화재 제69호
지정일 : 1980년 11월 17일
약 500년 전부터 음력 정초마다 동민들의 무병과 안녕을 위하여 마을의 서낭신에게 제사지낸 동제였다. 10년마다 대제, 마을에 액이 있거나 특별한 신탁이 있을 때는 임시제를 올렸다 한다. 이때 신의를 기쁘게 하고자 부락 사람들이 광대와 악공이 되어 이 가면극을 연희하였다.
내용은 파계승에 대한 조소와 양반에 대한 풍자 등이며, 모두 8마당 (무동마당·주지마당·백정마당·할미마당·파계승마당·양반과 선비마당·혼례마당·신방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래의 탈놀이 중에서도 가장 단순한 옛 모양 그대로를 전승하는 서민극이다.
이 가면극에 사용하는 탈 11개와 신령 1개가 현재 전하나, 그 연희자와 자세한 재담 및 춤사위 등은 전하지 않는다. 이 11개의 나무로 된 탈과 이웃 병산의 나무 탈 2개는 국보 제121호로 지정된 한국 최고의 것이다. 1980년 중요무형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되었다. 하회탈춤, 하회가면극이라고도 한다.
하회리에서는 이 탈들을 신성시하며, 특히 각시탈은 서낭신을 대신한다고 믿어 별신굿 때 외에는 볼 수 없고, 부득이 꺼내볼 때는 반드시 산주가 고사를 지내야 한다. 이처럼 의례용 가면으로서의 신성성을 지니고 있다. 악기는 농악기로서 탈놀이 광대들이 농악대를 겸하였고, 탈놀이 마당과 마당 사이에 한 차례씩 농악을 울려 놀이마당을 구분하였다. 장단은 주로 세마치장단을 많이 쳤다고 한다. 춤이나 동작은 놀이할 때 서낭님이 시켜서 저절로 하게 된다고 일러오며, 다른 탈춤의 경우처럼 춤사위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하지 않고 즉흥적이며 일상동작에 약간의 율동을 섞은 것이었다고 한다. 춤사위로는 몽두리춤과 오금춤이 있다.
(하회별신굿 탈)
하회별신굿놀이의 줄거리를 간단히 말하자면, 옛날 허 도령이라는 청년이 있었다. 허 도령은 꿈에 마을의 수호신으로부터 가면 제작의 계시를 받았다. 이튿날 허 도령은 목욕재계하여 집안에 외인의 출입을 막는 금줄을 치고 전심전력으로 가면 제작에 몰두했다. 그때 허 도령을 몹시 연모하는 처녀가 있었다. 처녀는 여러 날을 기다렸으나 허 도령을 볼 수가 없었다. 약속한 금기의 백일을 하루 앞둔 날, 허 도령이 무엇을 하는지 궁금했던 처녀가 그 모습이나 보고자 창에 구멍을 뚫어 엿보고 말았다. 금단의 계율을 어긴 것이다. 입신지경이던 허 도령은 그 자리에서 피를 토하고 숨을 거두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만들던 이매탈은 턱이 없이 남게 되었다. 그 후 처녀도 번민하다가 마침내 죽었다. 마을 사람들은 처녀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성황신으로 고이 모시고 해마다 당제를 올리고 특별히 10년마다 별신굿을 벌여왔다고 한다.
<하회별신굿탈놀이>는 대내림에서부터 시작된다. 정월 초이튿날 아침 산주와 광대들이 서낭당에 올라가 당방울이 달린 내림대를 잡고 서낭신을 내리면 당방울을 서낭대에 옮겨 달고 하산한다. 동사에 다다르면 서낭대와 내림대를 동사 처마에 기대어 세우고, 모여든 마을 사람들 앞에서 농악을 울리며 한바탕 놀이를 벌인다.
이창희의 구술에 따르면, 탈놀이의 첫째마당은 ‘각시의 무동’마당이다. 각시광대는 무동을 타고 꽹과리를 들고 구경꾼들 앞을 돌면서 걸립(동네의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패를 짜 돌아다니며 풍악을 울리는 일)을 한다. 이 걸립은 탈놀이 전 마당을 통하여 수시로 행하여졌고, 이렇게 모은 전곡은 모두 별신굿 행사에 쓰고, 남으면 다음 행사를 위하여 세워둔다.
(첫째마당. 각시의 무동)
둘째마당은 ‘주지놀이’로서 주지는 곧 사자를 뜻하며, 액풀이마당으로 벽사의 의식무 라는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