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를 반대한 최만리의 상소문의 일부를 비판적읽기 모형에 적용

 1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를 반대한 최만리의 상소문의 일부를 비판적읽기 모형에 적용 -1
 2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를 반대한 최만리의 상소문의 일부를 비판적읽기 모형에 적용 -2
 3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를 반대한 최만리의 상소문의 일부를 비판적읽기 모형에 적용 -3
 4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를 반대한 최만리의 상소문의 일부를 비판적읽기 모형에 적용 -4
 5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를 반대한 최만리의 상소문의 일부를 비판적읽기 모형에 적용 -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를 반대한 최만리의 상소문의 일부를 비판적읽기 모형에 적용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사실적 읽기
- 전체 줄거리 파악하기
- 주장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 핵심어 이해하기
1) 줄거리
언문(諺文)의 제작은 신묘(神妙)한 일이지만 신들의 소견으로는 의심스러운 바가 있어 다음과 같이 아뢰니, 전하의 재가를 바랍니다.
대대로 중국의 문물을 본받고 섬기며 사는 처지에 한자와 이질적인 소리글자를 만드는 것은 중국을 섬기고 사모함에 부끄러운 일입니다. 또한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것은 우리나라의 진보한 학술과 아름다운 풍속을 버리고, 몽고, 서하, 여진, 일본, 서번(티베트) 와 같이 오랑캐가 되는 일입니다. 중국에서 통용하는 글자를 빌려서 만든 설총의 이두는 학문을 일으키는데 도움이 되기도 하거니와 관청의 장부나 모임의 일을 적는데 막히는 것이 없는데, 이두를 두고 따로 촌스럽고 저속하고 이익이 없는 글자를 만들 이유가 없습니다. 만일 스물일곱 자의 언문으로 세상에 입문할 수 있다면 그 누가 생각을 수고로이 하여 성리의 학문을 연마하려고 하겠습니까? 수십 년이 지난 뒤에는 틀림없이 문자를 아는 사람이 적게 될 것입니다. 언문은 새롭고 신기한 한 가지 재주일 뿐이지 학문에는 손해요, 정치에는 유익함이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새 글자를 만드는 것은 풍속을 크게 바꾸는 일인 만큼 재상과 백관, 중국에 묻고 심사숙고를 거듭해야 마땅한데, 신중함이 전혀 없이 갑자기 아전 무리 십여 인에게 가르쳐 익히게 하고, 판각하여 급히 천하에 알리려 하시니 후세의 공론이 우려됩니다.
2) 필자의 주장하는 내용
최만리는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한글 창제를 반대하고 있다.
3) 핵심어 이해하기
- 언문(諺文)
- 전서
- 이두(吏頭)
2. 추론적 읽기
- 배경지식 및 내용 이해를 돕는 생략된 정보 활용하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