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내용분석의 범주화

 1  [사회복지조사론] 내용분석의 범주화-1
 2  [사회복지조사론] 내용분석의 범주화-2
 3  [사회복지조사론] 내용분석의 범주화-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복지조사론] 내용분석의 범주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회복지조사론] 내용분석의 범주화
내용분석에서 분류작업은 크게 명시적 분류(manifest coding)와 잠재적 분류(latent coding)의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조사자들은 이해의 깊이(depth)와 구체성(specificity) 간의 본질적 선택에 직면하게 된다(Rubin & Babbie, 2001 : 442-443). 이는 각각의 타당도와 신뢰도간의 선택으로 나타난다. 명시적 분류는 신뢰도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으며 잠재적 분류는 타당도와 관련을 갖고 있다. 즉 숨어있는 내용을 파악하여 전체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은 타당성을 증가시키고 겉으로 드러난 표면적 내용을 코딩하는 것은 신뢰도를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현장연구조사자는 다른 관찰자가 같은 상황에 대해 다른 판단에 도달하게 될 위험에도 불구하고 관찰과 정보의 폭넓은 범위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을 더 선호하면서 깊이를 선택한다. 그러나 설문조사연구(표준화된 설문지의 사용을 통한)는 변수를 구체적으로 측정하는 척도가 그 변수를 완전히 타당성 있게 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또 다른 극단인 전체적 구체성(total specificity)을 대표한다. 내용분석은 이 문제에서 상당한 선택의 여지가 있다.
의사전달의 드러난 내용(manifest content, 눈에 보이는 표면적인 내용)을 코딩하는 것은 표준화된 설문지를 이용하는 것에 가깝다. 예를 들어, 책들이 성차별을 어느 정도로 하고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남성 대명사를 사용하는 횟수(구체적으로 성별을 밝히지 않은 의사의 역할을 "그의" 역할로 언급하는 것과 같은) 또는 한 페이지 당 남성 대명사를 사용하는 평균 횟수를 셀 수 있다.
이 방법은 코딩하기 편리하고 신뢰도가 있으며, 연구조사보고서를 읽는 사람들이 성차별 언어를 어떻게 측정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타당도의 면에서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성차별적 책(set book)이라는 용어에는 남성 대명사를 사용하는 회수보다 더 풍부하고 깊은 의미를 전달한다는 것은 확실하다(A. 루빈-E. 바비, 성숙진 유태균 이선우, 2001 : 462-463).
다른 방법으로 연구자는 의사전달의 숨어 있는 내용(latent content), 즉 저변에 있는 의미를 코딩할 수 있다. 앞의 예에서, 연구자는 전체 책 또는 문단이나 페이지의 표본을 읽고 그 책이 얼마나 성차별적인가 전체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연구자의 전체평가는 남성대명사를 적절하지 않게 사용하는 것에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겠지만 적절하지 않은 남성 대명사의 빈도에 완전히 달려 있는 것은 아니다. 두 번째 방법(숨어 있는 내용 부호화)이 의사전달의 저변에 있는 의미를 끌어내기 위해서는 더 나은 설계인 것처럼 보이는 것은 확실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신뢰도와 구체성을 희생하게 된다. 특히, 여기에는 코딩하는 사람에 따라 성차별적이라고 코딩하는 문장이나 문구를 다르게 판단하여 적용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한 사람이 코딩하더라도 전체 작업 기간 동안 일관된 정의와 기준을 유지하리라는 보장이 없다. 때로는 시간에 쫓겨서 혹은 실수로 잘못 해석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명시적 분류는 분명하게(visible), 겉으로 드러난(surface) 내용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체적이며 객관적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동일한 내용을 연구자에 따라서 다르게 분류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
그러나 명시적 분류는 내용의 깊이 있는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피상적 분석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
동일한 언어, 동일한 행동이라 하더라도 장소와 상황, 상대방에 따라서 그 의미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는데, 명시적 분류는 이와 같이 미묘한 차이를 간과할 여지가 많다. 이와는 달리 잠재적 분류는 자료의 전체적 맥락에 비추어 언어나 행동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깊이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대신, 연구자가 자의적으로 판단할 여지가 많아서 분류기준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지 못할 가능성이 많다.
내용분석에서 자주 사용되는 범주의 형태들은 다음과 같다(Nachmias & Nachmias, 1992 : 315).
주제문제(subject matter) : 의사소통이 무엇에 관한 것인가? 즉 주제는 무엇인가?
방향(direction) : 주제가 다루어지는 방향(예를 들면 호의적인가, 악의적인가?)은?
기준(standard) : 방향에 의한 분류가 (형성되는) 근거는 무엇인가?
참고문헌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하고 싶은 말
주요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한 과제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