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상] 서학논쟁

 1  [한국사상] 서학논쟁-1
 2  [한국사상] 서학논쟁-2
 3  [한국사상] 서학논쟁-3
 4  [한국사상] 서학논쟁-4
 5  [한국사상] 서학논쟁-5
 6  [한국사상] 서학논쟁-6
 7  [한국사상] 서학논쟁-7
 8  [한국사상] 서학논쟁-8
 9  [한국사상] 서학논쟁-9
 10  [한국사상] 서학논쟁-10
 11  [한국사상] 서학논쟁-11
 12  [한국사상] 서학논쟁-12
 13  [한국사상] 서학논쟁-13
 14  [한국사상] 서학논쟁-14
 15  [한국사상] 서학논쟁-15
 16  [한국사상] 서학논쟁-16
 17  [한국사상] 서학논쟁-17
 18  [한국사상] 서학논쟁-18
 19  [한국사상] 서학논쟁-19
 20  [한국사상] 서학논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상] 서학논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 본론
1. 서학이란?
2. 조선 서학의 전개.
3. 서학논쟁의 사상적 배경.
4. 서학의 주요 인물
5. 이익과 신후담.
6. 천주교에 대한 찬반양론.

Ⅲ .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우리 민족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우리도 여느 민족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문화를 소화하고 때로는 배척하면서 사회를 유지해 왔음을 알 수 있다. 나름의 무속 신앙이 있었고 불교, 도교, 유교, 그리고 역사에 거의 기록되지 않은, 유입에 실패한 숱한 문화들이 있었다. 어느 민족, 어느 사회든 독창적인 문화만을 고수한다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한 일이지만, 여기에서 다룰 서학은 우리나라에 유입된 외래문화 중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다른 문화 유입의 경우에는 우리 민족이 자주적인 입장에서 수용 또는 배척에 관한 합의를 이끌어 냈던 것과 달리, 서학은 당시 정권 담당자들과 민중들의 거센 반발 속에서 강제적으로 유입된 측면이 강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 표면적 이유는 서학과 결부된 제국주의의 물리력에 있었다.  어느 봉건 사회와 마찬가지로 조선 사회도 종교와 정치는 분리되지 않은 채로 있었다. 조선 사회의 국가 종교라고도 할 수 있는 유교에 대한 다른 종교의 도전은 곧 정치권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여졌다. 따라서 다른 종교에 대한 대응은 종교 논쟁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정치권의 세력 향배에 의해 큰 영향을 받게 마련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대외적으로는 서학 배후에 있던 서양 세력과의 대립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조선 후기 사회에서의 '서학'이라고 하면 넓은 의미에서는 서양 문물에 관한 모든 지식과 정보를 의미하지만, 좁은 의미에서는 새로운 종교로서의 천주교를 뜻하기도 한다. 조선 후기에 많은 사람이 접하였던 천주교와 과학 기술은 그 전래 과정과 영향을 고려할 때 서로 분리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참고문헌
『韓國思想論文選集(4차분) 161권』, 불함문화사, 2000.
『디지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동방미디어, 2001.
정성철,『실학파의 철학사상과 사회정치적 견해』, 한마당, 1989.
이원순, 『조선서학사연구』. 일지사, 1986.
한국철학사상사 지음, 『강좌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
정덕삼, 한국교육사, 서울: 동문사 2003
김영우·성영현 외, 교육사·교육철학, 서울: 교육과학사, 1998
장찬익·노진호,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이해, 서울: 백산출판사, 1998
정세화, 한국교육고전의 이해, 서울: 양서원, 1997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교육사, 서울: 교육과학사, 1997
정찬주·팽영일 외, 교육철학 및 교육사, 서울: 양서원, 1995
http://web.kyunghee.ac.kr/%7Ettoropa/e-w/ew-kang-west.htm
http://chang256.new21.net/board/board.php?db=536&no=2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