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서학(천주교)의 수용과 발전

 1  [조선시대] 서학(천주교)의 수용과 발전-1
 2  [조선시대] 서학(천주교)의 수용과 발전-2
 3  [조선시대] 서학(천주교)의 수용과 발전-3
 4  [조선시대] 서학(천주교)의 수용과 발전-4
 5  [조선시대] 서학(천주교)의 수용과 발전-5
 6  [조선시대] 서학(천주교)의 수용과 발전-6
 7  [조선시대] 서학(천주교)의 수용과 발전-7
 8  [조선시대] 서학(천주교)의 수용과 발전-8
 9  [조선시대] 서학(천주교)의 수용과 발전-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시대] 서학(천주교)의 수용과 발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들어가는 말
2. 서학의 수용
2-1. 서학 수용의 배경
2-2. 서학과의 접촉
2-3. 서학의 수용
3. 서학의 발전
3-1. 최초의 천주교도 허균
3-2. 서학의 발전과 교회의 설립
4. 천주교(서학) 박해
4-1. 천주교 박해과정
4-2. 천주교 박해의 원인
5. 천주교의 영향
5-1.긍정적 영향
5-2.부정적 영향
6. 나가는 말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한·중·일 동양 3국의 근대화는 이른바 ‘서학’의 수용과 밀접한 연관 속에서 진행되었다. 일반적으로 서학이란 서구 근대 문명을 수용하고 연구하는 학문적 활동을 일컬은 말이다. 그 내용은 크게 ‘이적(理的) 측면인 사상과 종교’ ‘기적(器的) 측면인 과학과 기술’의 영역을 포괄하고 있으며, 명칭에서 한국과 중국은 서학으로, 일본은 ‘난학(蘭學)’으로 좀 다르게 부르고 있다. 조선 서학의 경우, 청나라를 통해 들어온 한화(漢化)된 구라파(유럽)문명이란 뜻에서 ‘청구(淸毆)문명’이라고도 한다. 큰 흐름에서 보면 서학은 동서간 교류로서 그 전파와 수용은 이질문명간의 성공적인 융합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서학(西學)은 조선 중기 16세기 이래 중국에 와서 선교 활동을 하던 서양 선교사들이 한문으로 번역한 서학서(西學書)에 의해 소개되어 졌다. 이는 서양사상과 문물(文物)로써 좁은 의미에서는 천주교를 의미하며, 그 때문에 이를 서교(西敎) 또는 천주학(天主學)이라고도 하였다. 서학(西學)의 과학성은 기술 관료들의 천문, 역법(曆法)에 대한 효용성으로 주목을 받았고, 실제 만국지도, 천리경, 자명종 등은 의식의 전환에 기여하였다. 한편, 정계에서 소외되어 있던 재야 지식인들은 학문적 호기심으로 서학의 종교성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마침내 새로운 가치 체계에 동의하여 신앙 운동으로 이끌었는데, 그것이 전통적 가치 체계와 대립하면서 탄압을 받자, 동일한 범주 안에서 이해되던 서학(西學)의 과학성은 제약을 받게 되었다. 그리하여 1784년 이후에는 서학(西學)이라 하면 천주교 신앙만을 의미하게 되었다.
천주교는 조선시대의 국가·사회조직에 대하여 결정적인 개혁을 일으키지는 못하였으나, 많은 지식인에게 전통적인 성리학(性理學)에 대한 자기반성을 하게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또 조선 후기의 개화사상(開化思想)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이제 천주교의 수용과 발전과정, 그리고 그들이 받았던 박해와 그 영향들을 살펴보자.

2. 서학(천주교)의 수용
참고문헌
※참고자료
강재언, 『조선의 西學史』, 민음사, 1990 (http://www.catholic-sm.org)
김성준, 『韓國基獨敎史』, 한국교회연구원,1980
김옥희, 『한국서학사상사 연구』,국학자료원
노길명, 『가톨릭과 조선후기 사회변동』,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8
이원순, 『朝鮮西學史硏究』, 일지사, 1986
조광,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8
최재건, 『조선후기 서학의 수용과 발전』, 한들출판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