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

 1  [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1
 2  [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2
 3  [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3
 4  [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4
 5  [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5
 6  [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6
 7  [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7
 8  [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8
 9  [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9
 10  [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10
 11  [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고전소설 속 대중성 -애정관계의 난관을 중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며

Ⅱ. 고전소설의 애정관계에서 나타나는 난관 유형분류
1. ‘불가피한 상황’ - 전쟁, 왕의 명령에 의한 난관
2. ‘신분의 차이’에 의한 난관
3. ‘오해’로 인한 난관

Ⅲ. 애정관계의 난관들이 주는 효과
1. 극적인 효과 - 긴장감, 상상력 자극
2. 대리만족의 효과 - 공감대 형성
3. 도식성의 효과 - 기대

Ⅳ. 애정관계의 난관들이 주는 효과와 관련된 현대 대중문화 사례
1. ‘불가피한 상황’의 사례 - 영화
2. ‘신분의 차이’의 사례 - 드라마 ,
3. ‘오해’의 사례 - 드라마

Ⅴ. 결론
본문내용
고전소설은 인쇄문화가 발달하기 이전에 필사 등을 통해 널리 읽혀왔다. 17~18세기에는 여성들이 자신의 패물을 팔아 소설을 구하는 사람이 있었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이니, 여성 독자층을 중심으로 한 소설의 인기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당시의 소설은 오늘날의 영화나 드라마와 같이 대중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라고 추측해볼 수 있다. 이를 역으로 생각해보면 대중문화가 가지는 어떤 보편적인 특징을 고전소설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고금을 막론하고 가장 보편적으로 형상화된 주제는 애정관계이다. 두 남녀가 서로 애정을 느껴서 결합을 성취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녀의 결합문제는 조선시대 소설사에서도 소설의 발생기부터 가장 핵심적인 문제로 다루어져 왔다. 박일옹, 《조선시대 애정소설》, 집문당, 1993. p.13

그러나 애정관계 이야기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 남녀주인공들이 만나 행복하게 사랑하다가 끝나는 이야기들은 많지 않다. 중간에 한두 가지 쯤 난관이 있어야 하고, 난관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에서 재미를 느낀다. 주인공들의 관계가 단절됐다가 다시 이어지기를 반복하는 뻔한 애정이야기가 독자를 사로잡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본고에서는 고전소설에서부터 현대의 대중문화에 이르기까지 공통으로 적용되는 유형을 찾아보고, 그것이 주는 효과를 파악해봄으로써 수용자에게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만중 원저·송성욱 글, 《구운몽》, 민음사. 2003
김기동, 《한국고전문학전집》, 성음사. 1970
김만중 원저·송성욱 글, 《사씨남정기》, 현암사. 2004
박일옹, 《조선시대 애정소설》, 집문당, 1993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 1995
손찬식, 《고대설화에 나타난 혼사장애의 성격》, 온지논총. 2004
송성욱, 〈혼사장애형 대하소설의 서사문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왕챵, 《금기, 범하고 싶은 욕구》, 비전코리아, 2000
이대현 외, 《심생전․운영전》, 현암사. 2004
이창헌,〈고전소설의 혼사장애구조와 유형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황패간 역주, 《한국고전문학전집》,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