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

 1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1
 2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2
 3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3
 4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4
 5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5
 6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6
 7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7
 8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8
 9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9
 10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10
 11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11
 12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12
 13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13
 14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14
 15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15
 16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16
 17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17
 18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18
 19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19
 20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한국전통 신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구비문학

2. 신화의 정의와 특징
1) 신화의 정의
2) 신화의 특징

3. 한국 신화의 분류
1) 국가 시조신화 (건국신화)
2) 촌락 시조신화 (마을신화)
3) 씨족 시조신화 (성씨신화)
4) 무속신화

4. 일본, 중국, 그리스-로마 신화와 비교
1) 일본신화
2) 중국신화
3) 그리스-로마신화
4) 인류 재창조신화를 통한 동서양 비교
5) 우리 신화와 다른 나라 신화의 차이점

5. 신화의 현대적 의의

6. 신화 전승과정의 교육적 가치
본문내용
- 구비문학이란 ‘말로 된 문학’이다. 즉, 전승의 매체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록되기 전 까지는 항상 이동하고(유동문학), 쌓이고(적층문학), 떠도는 특성(표박문학)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기록된다 하더라도 기록된 차제는 변하지 않으나, 기록과는 관계없이 수용되고 사회집단의 성격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속성을 함께 지닌다. 화자의 기억력에 따라 이야기가 조금씩 변하기도하고, ‘임꺽정’처럼 불안한 민중들의 상황이나 시대적인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에 민중의 역사적 창조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또한 기록문학에 비해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문학으로 전문적인 작가가 창작해서 소수의 독자만이 향유하는 문학이 아니라 누구라도 창조하고 향유할 수 있는 문학, 모든 사람의 일상생활의 한 부분을 이루는 문학이 구비문학이다. 구비문학은 미적ㆍ예술적인 가치보다는 생활적ㆍ문화적인 가치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데, 이는 구비문학이 민중의 생활상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구비문학의 보편적인 갈래는 설화, 민요, 무가이며, 구비문학의 오랜 전통을 흡수하여 예술적인 가치를 창출한 것이 판소리와 민속극이다.
참고문헌
1. 소재영 외. {한국의 민속문학과 예술}. 서울:집문당. 2001.
2. 서대석 외.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서울:집문당. 2002.
3. 이지영. {한국의 신화 이야기}. 서울:사군자. 2003.
4. 손종흠 {다시 읽는 한국 신화}. 서울:Humam&Books. 2004.
5. 정재서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 신화}. 서울:황금부엉이. 2004.
6. 요시다 아츠히코 외 {일본의 신화} 서울:황금부엉이. 2005.
7. 이원복 {신의 나라 인간나라} 서울:두산동아.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