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판소리 작품연구

 1  [고전문학] 판소리 작품연구-1
 2  [고전문학] 판소리 작품연구-2
 3  [고전문학] 판소리 작품연구-3
 4  [고전문학] 판소리 작품연구-4
 5  [고전문학] 판소리 작품연구-5
 6  [고전문학] 판소리 작품연구-6
 7  [고전문학] 판소리 작품연구-7
 8  [고전문학] 판소리 작품연구-8
 9  [고전문학] 판소리 작품연구-9
 10  [고전문학] 판소리 작품연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판소리 작품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2

제1절 연구목적2


제2장 판소리 작품 개관2

1)춘향가2
2)심청가2
3)흥보가3
4)적벽가3
5)수궁가3


제3장 의 매력4

1)작품의 경개와 전승바디4
2)미적 표현효과와 정서적 특질5
3)작품에 투영된 의식과 주제7


제4장 결론9


참고문헌10

본문내용
1)
최초의 작품은 유자한의 한시(1754)이다 그 후 19세기 중반 신재효 개작인 남창 동창이 전하고 있고 이본으로는 사본, 판본, 활자본 등 소설본 90여종과 수많은 창본이 전한다 최근 소개된 이본(1864~1869년간 추정)는 최대의 분량과 내용을 지닌 판소리와 소설의 중간 형태로 주목되는 작품이다
의 소재적 형성은 대체로 ‘열녀설화’, ‘암행어사설화’, ‘애정설화’, ‘신원설화’, ‘관탈민녀설화’등 전래 설화의 복합으로 이루어졌다는 근원설화설과 춘향이 성안의란 실제 인물의 딸이라거나 남원의 추녀전설이 작품화되었다는 실제인물설, 그리고 중국의 , , 등의 영향을 받았다는 중국문학영향설 등이 논의되어 오고 있다 그리고 주제에 있어서는 춘향의 정절로 대표되는 열녀사상과 중세의 완고한 신분, 제도, 윤리로부터 인간 해방과 사랑의 정취, 그리고 민중의 사호적 항거 등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과거의 명창과 더늠은 송흥록(옥중가), 송광록(긴사랑가), 박유전(이별가), 김세종(천자풀이), 이날치(춘향자탄가), 장자백(광한루구경대목), 송만갑(농부가), 임방울(쑥대머리) 등이 유명하다

2)
의 이본은 모두 80여 종이 전하는데, 이들은 대체로 창본계와 소설본계 그리고 순수 창본 등으로 나뉜다 이 중 완판계가 창본에 가깝고 경판계에는 소설본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들의 선후 문제에 따라 의 형성이 ‘판소리→소설’이냐, ‘소설→판소리’이냐의 문제가 제기되는데 어떤 것이든 그 앞에 설화의 존재는 필연적이다 의 근원설화로는 ‘효녀설화’, ‘희생설화’, ‘개안설화’, ‘관음화신설화’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을 공유한 ‘관음사신설화’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을 공유한 ‘관음사연기설화’가 가장 근사치를 가지고 있다 의 주제에 대하여는 효도사상이 일찍부터 거론되었으나, 그 외에도 비장과 골계, 원초적 불행의 극복, 왕생극락, 구원을 통한 자기정화, 자아의 발견 회복과 성취 확장의 실현등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조선 후기 민중들의 사회적 ․ 인간적 궁핌상을 관음보살의 구원으로 해결하려는 소박한 불교적 열망을 담아낸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國語文學會, 「판소리와 국어국문학」,韓國文化社, 1995
박영주, 「판소리 사설의 특성과 미학」,보고사, 2000
인권환, 「판소리 唱者와 先傳 辭說 硏究」,집문당, 2004
http://previewbritannicacokr/spotlights/pansori
http://wwwsorijeonbukkr/sori_2/001html
http://wwwpansore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