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

 1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1
 2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2
 3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3
 4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4
 5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5
 6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6
 7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7
 8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8
 9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9
 10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10
 11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11
 12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학] 태평양 전쟁기의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한중일 교과서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머리말 1

II 본문 1~ 7

1 한국 역사 교과서1 ~ 2

①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국사’1

* 비판1 ~ 2

② 금성출판사 ‘한국 근․현대사’2 ~ 3

* 비판3

2 일본 역사 교과서4 ~ 7

* 일본 교과서에 기술된 우리나라 역사4 ~ 5

* 간략적인 설명5

* 비판5 ~ 7

III 맺음말 7~9

본문내용
* 비판
㉠ 먼저 국사교과서를 살펴보면 전체 7개의 단원 가운데 하나의 단원으로 ‘근현대사의 흐름’을 설명하고 있고, 그 분량은 15%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선사․ 고대․ 중세․ 근세 부분은 정치․경제․문화사로 나누어 자세히 기술하고 있는 반면, 근현대사는 하나로 통합하여 기술하였기 때문에 사건 하나하나에 대해서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다 물론 국사교과서가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사를 모두 다루고 있다는 특성을 고려할 때,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고 해도 지금까지 문제되고 있는 부분을 흘려보내는 식으로 간략히 언급한 것은 잘못된 점이다
㉡ 본격적으로 내용면에서 살펴보겠다 한국의 서술내용에 있어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다음 두 가지이다
- 일본군 ‘성노예’가 이아현, 2002,「역사교과서를 통해 본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한 ․일 중등학교 역사교과서 서술을 중심으로-」,『한일민족문제연구』,2권, 단일호
이 논문에서는 ‘위안부’라 지칭하지만 여기서는 ‘성노예’라 지칭하기로 한다
역사 속에 존재했다는 자체만 서술하고 있을 뿐, 일제 식민지하에서 어떤 식으로 형성되었고, 어떠한 일을 했는가 등의 자세한 설명은 전혀 없다 ibid
이 부분을 일제 식민지 시기의 민족 수난의 과정 중 하나로 보고 넘어가는 식의 -정작 신경 써야 할 부분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하고 있다- 태도는 옳지 못하다
- 간략하게 서술하는 것을 넘어 더 큰 문제는 용어를 혼동하여 역사적인 사실을 정확히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머리말에서도 이미 언급했듯이 ‘위안부’라는 용어는 문제의 본질은 왜곡하는 것이다 ‘위안부’란 명칭은 일본 특유의 것이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진상조사 연구위원회, 1997,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상』,역사비평사
이는, 일본의 입장에서 바라 본 일방적인 면만을 보여줄 뿐 피해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말이다 그런데 국사 교과서에서는 ‘위안부’라는 용어를 마치 학계에서 인정받은 것처럼 위안부로 쓰고 있다
더불어 ‘정신대’를 ‘위안부’로 바라보는 인식도 잘못된 것이다 ‘정신대’는 1944년 여성정신근로령이 공포되었을 때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고 태평양 전쟁 기에 남성 노동력의 부족현상으로 여성까지 군수 공장에서 일하게 하려고 만들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