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

 1  [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1
 2  [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2
 3  [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3
 4  [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4
 5  [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5
 6  [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6
 7  [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7
 8  [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8
 9  [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9
 10  [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10
 11  [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와 인류학]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전통의 창출

3. 「민족국가의 역사적 민족지학」

-근대 일본의 날조, 망각, 회상

4. 국가가 주도한 민족주의와 제국주의

5. 애국주의와 인종주의

6. 맺음말
본문내용
시기가 오래된 것처럼 보이는 ‘창출된 전통들’은 종종 그 기원이 매우 최근의 것으로, 새로이 만들어 지고 있는 것들이다. ‘창출된 전통’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그렇다고 부정확한 의미가 아니다. 그 용어에는 실지로 창조되어, 만들어져 형식적으로는 제도화된 ‘전통들’과 단기간 안에 쉽게 나타나 매우 빠른 속도로 자체적으로 체제를 잡아가는 전통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창출된 전통’은 분명하든 불분명하든 간에 누구나 인정하는 규정에 따라 치러지는 행사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흔히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행사들은 본질적으로는 의례적이고 상징적인 것으로 행위의 규범과 일정한 가치를 반복하여 주입시키려고 한다. 이를 반복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과거와의 관계를 계속 가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창출된’ 전통의 특이성이 역사적인 과거와 관련성을 가지고 있지만, 사실 그 특이성이란 것의 역사적인 과거와의 연속성이 대체로 인위적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의미에서 ‘전통’은 소위 ‘전근대적인’ 사회에 지배적인 ‘관습’과는 분명하게 구별되어야 하는데 창출된 전통들도 포함하여 ‘전통’의 목적과 특징은 불변성에 있다. 전통과 관련된 과거란 반복과 같은 고정된 행사를 강용하는 법이다. 그리고 관습은 어느 정도까지의 혁신과 변화를 배제하지 않고 오히려 배제하고 있는 것은 역사 속에 표현된 전례, 사회적 지속성과 자연적인 법칙의 신성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 시키는 것이다. 그렇기에 관습은 불변하는 것일 수 없다. 심지어 ‘전근대적인’ 사회에서 조차도 삶은 불변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관습’이 쇠퇴하면 자연히 관습과 습관적으로 얽혀있는 ‘전통’이 변하게 마련이다.
참고문헌
홉스바움 ․ 랑거 편, 최석영 옮김, (서경문화서, 1995)
타카시 후지타니, 최희정 옮김, (동아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01)
베네딕트 앤더슨, 최석영 옮김, , (서경문화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