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지우론 -시적인 것으로서의 신호-

 1  황지우론 -시적인 것으로서의 신호--1
 2  황지우론 -시적인 것으로서의 신호--2
 3  황지우론 -시적인 것으로서의 신호--3
 4  황지우론 -시적인 것으로서의 신호--4
 5  황지우론 -시적인 것으로서의 신호--5
 6  황지우론 -시적인 것으로서의 신호--6
 7  황지우론 -시적인 것으로서의 신호--7
 8  황지우론 -시적인 것으로서의 신호--8
 9  황지우론 -시적인 것으로서의 신호--9
 10  황지우론 -시적인 것으로서의 신호--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황지우론 -시적인 것으로서의 신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시론: 그의 시를 말한다.
2. 80년대 전반 초기시 - 부정적 현실인식과 풍자
3. 80년대 후기시
1) 『나는 너다』-타자를 통해 바라보는 현실
2) 『게 눈 속의 연꽃 』-‘華嚴’을 통해 바라본 현실
4. 황지우와 해체시
Ⅲ. 결론
본문내용
. 본론
1. 시론: 그의 시를 말한다.
황지우의 시를 읽다보면 이제까지 감상한 시와는 또 다른 낯선 매력을 느낀다. 방송대본의 한 장면인 듯한 시, 사람을 찾고 있는 시, 편지글 형식의 시 등에서 이러한 면을 엿볼 수 있다. 독자는 이러한 시를 보고 이것도 시가 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점을 가지게 될 지도 모른다. 그만큼 그의 시는 독특하다. 그만의 독특한 시의 형태와 내용을 가진 황지우 그 자신은 자신의 시에 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지은 것일까? 그의 시론에 대해 밝히면 이렇다.
첫째, 그에게 있어서 문학이란 ‘의사소통’의 일종이다. 우리가 시를 접할 때 시 그 자체만으로 내용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그 시가 쓰여진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해의 도달점을 찾으려고 해야 비로소 어느 정도 이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작가는 당시의 80년대의 우리 사회의 상황을 고발하고 폭로하는 시를 썼다. 그리고 그러한 시로 독자들과 함께 아픔을 공유하기 원했다.




Ⅲ. 결론
황지우에게 있어서 80년대 초반은 혼란 그 자체였다. 그래서 그는 시에서 철저히 전통을 파괴하면서 당시의 억압적이고, 비민주적인 시대에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80년대 후반에 들어와 그러나 80년대 후반에 들어와서 그는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화해의 손짓을 내밀고 있다. 마치 한 반항아가 그 세상에 화해의 손길을 뻗히는 것 같다. 그래서 황지우의 80년대 후기시는 초기시에 비해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그의 이런 화해와 통합의 제스쳐는 현실에 대한 포기가 아닌, 미래에 대한 희망이다. 현실을 비판하면서, 좌절을 하고 있기 보다는 더 나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고, 그것을 좀 더 긍정적으로 찾으려는 적극적인 자세인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앞으로 황지우가 더 나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전해줄 것이라고 믿는다.

참고문헌

여지선, 황지우론-시론(時論)과 시작(詩作)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제26집, 2001.
서익환,『문학적 상상력과 인식의 깊이』, 새미, 2004
이화여대시연구회,『행복한 시인의 사회』, 소명출판, 2004,
오민석, 소통과 고백 그리고 황지우론, 신동아, 1993.2
강석, 「황지우 시 연구」, 한국 교원 대학교 대학원 , 2004.2
오세영, 『20세기 한국시의 표정』,새미, 2001
오생근, 황지우의 시적 변모와 ‘삶’을 껴안는 방법, 문학과 사회, 1999.2
전정구, 저물면서 빛이 안 나는 시인, 현대시학, 1999.6
서익환, 「문학적 신념과 자유의지의 만남」,『문학적 상상력과 인식의 깊이』,새미, 2004.2
김준오,『도시시와 해체시』, 문학과 비평사, 1993,
황지우, 『사람과 사람사이의 신호』, 한마당,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