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가사론) 상춘곡과 누항사에 각각에 대한 이해와 의의 및 평가

 1  (시조가사론) 상춘곡과 누항사에 각각에 대한 이해와 의의 및 평가-1
 2  (시조가사론) 상춘곡과 누항사에 각각에 대한 이해와 의의 및 평가-2
 3  (시조가사론) 상춘곡과 누항사에 각각에 대한 이해와 의의 및 평가-3
 4  (시조가사론) 상춘곡과 누항사에 각각에 대한 이해와 의의 및 평가-4
 5  (시조가사론) 상춘곡과 누항사에 각각에 대한 이해와 의의 및 평가-5
 6  (시조가사론) 상춘곡과 누항사에 각각에 대한 이해와 의의 및 평가-6
 7  (시조가사론) 상춘곡과 누항사에 각각에 대한 이해와 의의 및 평가-7
 8  (시조가사론) 상춘곡과 누항사에 각각에 대한 이해와 의의 및 평가-8
 9  (시조가사론) 상춘곡과 누항사에 각각에 대한 이해와 의의 및 평가-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조가사론) 상춘곡과 누항사에 각각에 대한 이해와 의의 및 평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대부의

2. 상춘곡과 누항사
(1) 상춘곡
1) 이해
2) 상춘곡 속 강호
3) 의의 및 평가
(2) 누항사
1) 이해
2) 누항사 속 강호
3) 의의 및 평가

3. 조선 전기 가사와 누항사의 강호 의식 비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대부의 강호의식
자연친화 또는 자연추구의 흐름은 한국시의 전통적 흐름이다. 이러한 흐름의 조선조의 시가를 강호가도(江湖歌道)라 부르며 내용을 '자연미의 발견'이라 규정하였다. 또 강호가도의 형성 원인을 조선시대 사대부 층의 정치상과 생활상에서 파악하였다. 이처럼 강호가도가 성립된 것은 정치적인 문제에서 비롯하였으나, 여기에 토지 경제적인 뒷받침과 조선시대 사림(士林)의 도학적 문학과의 작용을 간과할 수 없다. 세조 조에 토지의 사유화가 이루어져서, 양반들은 이 사유지에 기반을 둔 생활 근거가 마련되어 있었으므로 벼슬에서 물러나와 강호 생활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삶의 상처를 가장 잘 치유할 수 있는 곳은 자연이다. 자연은 사람들의 아픈 삶을 달래주는 힘을 가진 공간이다. 모든 것을 가라앉히고, 잠들게 하고, 편안하게 하며, 즐겁게 하는 안식의 공간을 자연은 인간에게 제공한다. 그래서 인간은 위기에 처할 때마다 자연으로 돌아갈 것을 희구했다. 강호가도의 시인들이 벼슬길에서 물러 나와 한결같이 산수와 벗했던 이유도 거기에 있다. 강호가도는 조선조 초기인 15세기에서 17세기에 걸쳐 자연을 집중적으로 다룬 특정한 유형의 시가문학이다. 유유자적한 산수생활에 대한 사랑과 예찬이 주된 내용을 이룬다. 강호가도의 시인들은 자연을 객관적인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사람과 하나가 되어 조화를 이루어야 할 질서”로 인식하였다. 자연의 순리에 따르고, 자연에서 배우고, 자연과 더불어 벗한다는 생각이 그들의 자연관이었다. 즉, 그들이 말하는 강호가도의 자연은 관념적, 규범적 것이었다. 강호가도가 정확한 의미에서 객관적인 자연을 노래한 것만은 아니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그가 속한 시대와 사회가 갖는 틀을 벗어날 수 없다. 그것의 일정한 규제와 구속 아래 의식의 패턴이 형성되며 삶의 형태가 유지된다. 강호시가에 대한 접근도 그런 전제 밑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 시대의 것은 그 시대의 틀에 맞추어 바라보는 것이 정당한 시각이다. 그럴 때만 올바른 해석이 도출될 수 있는 것이다. 국화, 매화, 솔, 대나무 등은 당대의 시대 이념에 합일하는 대표적인 자연물이었다. 그러므로 그것들을 당대의 시인들이 노래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조선조 시가의 시다움은 오히려 그것들을 노래하는 데에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모든 문학 장르가 관습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며, 이 경우 국화, 매화, 달 등은 당대의 문학적 관습의 주요 목록들인 것이다. 가령 시조가 갖는 정형의 틀은 오늘날의 안목으로 보면 분명 낡은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그 시대에 필요했던 틀이며, 고전주의적인 절제와 질서를 바탕으로 했음을 보여준다.또한 우리가 강호가도에서 엿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점은 강호시가의 선비들이 자연을 대함에 있어서 물아일체(物我一體)와 흥(興)의 경지를 체득하였다는 사실이다.

참고문헌
한국 고전 시가론. 정병욱. 신구문화사. 1983
가사연구. 국어국문학회. 태학사. 1998
사대부가사의 갈등표출 연구. 이승남. 역락. 2003
조선사대부가사의 미의식과 문학성. 최상은. 보고사. 2004
국문학과 자연. 최진원.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1
한국가사문학연구. 정재호. 태학사. 199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