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명대 신사층에 관하여

 1  [중국사]명대 신사층에 관하여-1
 2  [중국사]명대 신사층에 관하여-2
 3  [중국사]명대 신사층에 관하여-3
 4  [중국사]명대 신사층에 관하여-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사]명대 신사층에 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신사의 역할

3. 신사의 특권

4.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명초에는 이갑제 질서를 통해 향촌질서가 유지되었고 새로이 등장한 未入仕學位所持者나 기존의 관직경력자는 모두 이갑제 질서 내에서 별다른 문제없이 융화되어 있었다. 즉 명초에는 아직 학위소지자의 수가 그리 많지 않았고 洪武年間의 잦은 옥사 등으로 관직의 변동이 심하였으므로 하나의 사회계층으로서의 신사는 그리 큰 의미를 가지지 않았다. 그러나 명 중기 이후 정치, 사회 질서의 이완현상이 두드러지고 사회가 급변함과 동시에 이갑제 질서의 해체현상이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그 결과 명조는 종래 里長과 里老人을 중심으로 유지되어 오던 향촌질서유지기능의 일부를 신사층에게 맡겼고 이갑제를 통한 공동체 유지기능이 약화되던 바로 그 시점부터 신사는 하나의 사회계층으로서 큰 의미를 갖게 되었다.


2. 신사의 역할
여기서는 신사의 역할을 크게 긍정적 역할과 부정적 역할로 나누었지만 실상 대부분의 역할은 양자가 복합된 즉, 사대부로서의 공의식과 사리추구가 결합된 성격을 띠었다.

(1)긍정적 역할
신사들은 지방관이나 정부의 역할을 보좌하거나 그들이 하지 못하는 일을 대신하는 ‘준관료’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지방관은 임기가 아주 짧고 한 지역에 오래 봉직하지 못했으며 고향에서 관직을 갖지 못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행정의 효율성이 떨어졌으며 실제로 그들이 할 수 있는 일이란 많지 않았다. 곧 지방관의 처지란 낯선 곳에 있는 이방인의 신세와 다르지 않았기에 짧은 임기 내에 관할 지역을 제대로 파악한다는 것은 극히 어려웠다.
참고문헌
張仲禮(金漢植 등역), 《中國의 紳士》, 신서원, 1993.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회 편, 《강좌중국사 4호- 제국질서의 완성》, 지식산업사, 1989.
吳金成, 《中國近世社會經濟史硏究 - 明代紳士層의 形成과 社會經濟的 役割》, 일조각, 1986.
閔斗基, 《中國近代史硏究 紳士層의 思想과 行動》, 일조각, 1973.

하고 싶은 말
중국사 수업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