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

 1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1
 2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2
 3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3
 4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4
 5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5
 6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6
 7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7
 8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8
 9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9
 10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10
 11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11
 12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12
 13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13
 14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14
 15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15
 16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16
 17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17
 18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류문화와 환경] 대안평도와 모이도 패총의 성격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적 위치와 환경
1. 위치 및 자연환경
2. 고고학적 환경

Ⅲ. 대연평도와 모이도의 다각적인 관계 분석
1. 유구
1) 노지
2) 수혈주거지
2. 동물과 패각자료
1) 동물자료
2) 패각
3. 유물

Ⅳ.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누가 어디에 살고 무엇을 먹으며, 어떤 물건을 쓰고 있는지는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도 커다란 관심사이다. ‘인류문화와 환경’ 수업을 들으면서 우리는 대연평도 까치산 패총 Ⅰ의 샘플을 분석과정을 직접 수행했고 과거 대연평도에 살았던 이들의 삶과 인접한 섬인 모이도와는 그들의 삶이 맺고 있었던 관계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수업 시간에 배운 동물 자료의 동정과 계량화 방법, 자원의 계절적 이동 등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대연평도와 모이도의 연계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우선 두 섬의 성격을 분명히 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기에 앞서, 대연평도의 지리적 입지와 자연환경, 어장의 형성과 같은 배경지식을 조사․서술하였다. 대연평도와 모이도를 점유했던 사람들이 남긴 흔적으로는 크게 패각 및 동물 자료, 유구와 있다. 이 중에서 패각 및 동물자료는 동정과 계량화를 통하여 실제 어떤 종의 동물과 해양자원이 식량으로서 활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유구로는 주거지와 노지가 있는데, 각 섬의 노지 및 주거지의 형태와 규모,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특히 조사의 초점은 유구가 장기적인 정주지인지, 일회성을 띤 것인지 혹은 지속적이고 장기적이진 않지만 일정기간 반복적인 거점인지를 분류․비교하는데 맞추어 조사하였다.
유구와 패총 내부에서는 토기편과 석기류와 같은 유물도 많이 발견되었고 석기와 골각기의 출토 여부 및 비율에 따라 어떠한 생계경제활동이 일어났는지 추측해 볼 수도 있었으며 이 것이 대연평도와 모이도의 관계에 어떤 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모색해 보았다. 아울러 토기의 문양이 두 섬의 관계를 반영한다고 상정하고 문양 비교를 시도했으며, 소연평도에서 발굴된 토기의 문양 역시 조사를 진행함에 있어 적극 활용하려 노력했다.
우리는 먼저 대연평도-모이도/소연평도의 가설과 대연평도/모이도-소연평도의 가설을 각각 세우고 실제 자료를 비교함으로서 어떤 특성이 어떠한 가설을 뒷받침하는지 알아볼 것이다. 이는 모이도의 크기 및 자연 환경을 고려할 때 모이도가 독자적으로 운영되는 닫힌 생활공간이었다고 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큰 섬인 대연평도와 소연평도 사이에 위치한 모이도의 지리적 특성 때문이기도 하다. 대연평도-모이도의 연계성에 주안점을 두고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다각적 고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소연평도-모이도의 연계적 가능성에 대해서도 무시하지 않기로 하겠다.
참고문헌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연평도패총》, 서울: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국립문화재연구소,《연평 모이도 패총》, 서울: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국립문화재연구소,《대연평도 까치산 패총》, 발굴조사 결과보고, 서울:국립문화재연구소, 2003년 7월Ⅰ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2001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인천광역시 강화군Ⅱ․옹진군Ⅱ》, 2002
국립문화재연구소,《군사보호구역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경기도편, 2000
이준정, 〈동물 자료를 통한 유적 성격의 연구-동삼동 패총의 예>, 《한국고고학보》50집, 2003
장진호․박용안․한상준, , 《한국해양학회》1-2, 1996
윤웅구․박병권․한상준, 《지질학회지》13-1, 1977
최몽룡 외, , 《한국문화》3,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