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

 1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1
 2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2
 3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3
 4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4
 5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5
 6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6
 7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7
 8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8
 9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9
 10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10
 11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11
 12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12
 13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13
 14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14
 15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15
 16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16
 17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17
 18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18
 19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19
 20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중세사]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전민변정사업의 시행 배경․의도
Ⅲ. 14세기 전반의 전민변정사업
1. 충렬왕대의 전민변정
1) 전민변정사업의 내용- 처간을 중심으로
2) 성과 및 한계
2. 충숙왕대의 전민변정
1) 찰리변위도감
① 설치배경 및 의도
② 찰리변위도감의 개혁안
③ 개혁의 성과와 한계
2) 사심관
① 사심관제도의 기원
② 임무와 성격
③ 사심관의 임무변화에 따른 경제적 수탈의 증가
④ 충숙왕 5년,「사심관 혁파」
⑤「사심관 혁파」의 성과
3) 충숙왕대의 옹립운동
① 1차 심왕옹립운동 - 충숙왕파(국속파)와 심왕파(통제파)의 대립관계를 중심으로
㉠ 충숙왕파와 심왕파의 대립배경
㉡ 충숙왕 5년 개혁의 의도
㉢ 1321년 1차 심왕옹립운동
㉣ 정치적․경제적 대립으로 인해 일어난 1차 심왕옹립운동
② 2차 심왕옹립운동
㉠ 12년 개혁과 충숙왕 15년 제2차 심왕옹립운동
㉡ 심왕옹립운동의 결과
3. 충목왕대의 전민변정
1) 정치도감의 설치배경과 의도
2) 개혁내용
3) 정치도감의 한계와 의의
Ⅲ. 전민변정의 한계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4세기 고려사회는 12세기 말 이래 파행적인 정치형태인 무인정권의 등장, 농민항쟁의 폭발 등에서 파생된 심각한 대내적인 모순과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채 그것을 그대로 안고 있었다. 또한 元(원)과의 관계에서 나타난 대외모순까지 중첩되어 있는 상황이었다. 당시의 정치․사회사는 이러한 대원(對元)관계로부터 비롯된 대외적 제모순(諸矛盾)으로 점철되어 있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정치․사회사에 나타난 이런 양상과는 달리, 사회경제사 부문에 있어서는 12세기 이래의 사회모순인 대내적 모순이 보다 결정적인 작용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당시 고려 중앙정부의 시책은 기본적으로 민(民)의 유망(流亡)과 항쟁을 방지하고 국가의 재정기반을 확고하게 하려는데 있었다. 민이 유망하는 것은 결국 정부 지배층의 존립기반을 위협하는 것이었으므로 지배층은 유민의 발생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로 대책을 세우고 정책에 반영시켰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강만길 외 11인, 『한국사 5, 중세 사회의 성립 1』, 한길사, 1995.
박종기, 『5백년 고려사』, 푸른역사, 2000.
송일환, 1994, 「高麗末의 私田-處干의 사회적 존재형태와 관련하여」, 史學硏究 47, 1993.
송혜란, 1984, 「高麗後期의 田民辨正事業-武臣政權에서 恭愍王代를 중심으로」, 綠友會報 26, 梨花女子大學校師範大學社會生活學科, 1985.
강순길, 「충숙왕대의 찰리변위도감에 대하여」, 호남문화연구 Vol 15, 1985.
박은경, 「高麗의 事審官과 朝鮮初의 留鄕所에 대하여」,『歷史學報』 168, 2000.
이순근, 「高麗時代 事審官의 機能과 性格」,『高麗史의 諸問題 』, 1986.
정희선, 「高麗 忠肅王代 政治勢力의 性格」,『史學硏究』, 1990.
홍승기, 「高麗前期의 事審과 鄕吏」,
「高麗後期 事審官制度의 運用과 鄕吏의 中央進出」,『高麗政治史硏究』, 일조각, 2001.
旗田巍, 「高麗の事審官」, 『朝鮮中世史會社の硏究』, 1972
김혜원, 「忠肅王 8년(1321)의 瀋王擁立運動과 그 性格」 『이대사원』31권, 이화여자대학교 사학회, 1998.
「高麗後期 瀋王 硏究」, 梨花女大 大學院: 박사논문, 1999.
김형수, 「元 干涉期 高麗의 政治勢力과 政局動向」, 경북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2.
「高麗 忠肅王 12년(1325) 敎書의 再檢討」, 경북사학 제 24집, 경북사학회, 2001.
이승한, 「高麗 忠宣王의 瀋陽王 被封과 在元 政治活動」, 전남대: 석사논문, 1986.
이익주, 「14세기 전반 高麗․元關係와 政治勢力 동향- 忠肅王代의 瀋王擁立運動을 중심으 로」, 한국중세사 연구 통권 제 9호, 한국중세사학회, 2000.
이영진, 「忠肅王代의 改革案과 그 性格」, 北岳史論 4, 國民大學校 文科大學 國史學科, 1997.
金塘澤, 「高麗 忠肅王代의 瀋王 옹립 운동」, 歷史學硏究 12, 全南大學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