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

 1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1
 2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2
 3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3
 4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4
 5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5
 6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6
 7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7
 8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8
 9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9
 10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10
 11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11
 12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12
 13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13
 14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14
 15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15
 16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16
 17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17
 18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18
 19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19
 20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어학] 중국어의 8대 방언과 그 언어적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p2

Ⅱ. 본론
1.중국 방언 분화의 역사적 배경 p3
2. 방언 별 사용 인구 및 방언 분포도
⑴ 방언 분포도 p5
⑵ 방언 별 사용 인구 현황 p6
3. 중국 7대 방언
⑴북방방언(北方方言) p7
⑵ 오방언(吳方言) p8
⑶ 민방언(閩方言) p10
⑷ 월방언(粤方言) p13
⑸ 객가방언(客家方言) p16
⑹ 상방언(湘方言) p20
⑺ 감방언(贛方言) p21
4. 7대 방언의 언어적 특징 종합·정리 p23
5. 7대 방언의 구체적 비교
⑴ 각 방언별 (대표지역중심) 친족 호칭의 차이 p25
⑵ 각 방언별 기피어휘 p25
⑶ 각 방언별 길상어휘 p26

Ⅲ. 결론 p28

Ⅳ. 참고
1. 방언지역에 따른 중국인의 기질 p29
2. 그 밖의 지역별 독특한 기질 p30
3. 중국인의 기질을 고려한 중국인과 장사하기 p31
본문내용
Ⅰ. 서론

광대한 영토와 곳곳의 큰 강, 산 등의 분포로 말미암아 각 지방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던 한족의 언어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강력한 통일국가를 형성하게 되면서 언어 통일의 필요성을 제고하게 되었다. 때문에 중국은 1955년 두 차례의 전국 규모의 회의를 잇달아 개최하여 문자 개혁, 표준 중국어의 보급, 그리고 현대한어의 규범화 문제를 토론하였다. 중국정부는 표준어인 보통화를 제정하고, 이를 보급하는데 힘쓰는 한편, 각 지역 간의 언어 격차를 해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에 제정된 보통화의 정의는 이렇다. ‘北京語를 표준음로 하고, 北方方言을 기초방언으로 하며 전형적인 현대 白話文으로 쓰인 문학작품을 문법적 규범으로 하는 한민족의 共通語’ 이러한 보통화의 보급은 국가의 통일을 확고히 하고 교육의 보급과 정치, 경제, 문화와 군사의 건설, 그리고 새로운 기술의 발전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보통화를 보급시키려는 노력은 지역 간의 언어의 격차를 해소시키기 위한 것일 뿐 결코 방언을 금지하거나 소멸시키려는 것은 아니다. 방언은 그 나름의 가치를 지니고 있고 현대 한어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방언은 중요한 세 가지 가치를 지닌다.
첫째, 방언의 연구를 통해 고대 한어로부터 현대한어로의 발전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본론에서 언급 될 7대 지역 방언 중 남방방언은 비교적 고대 한어의 모습이 많이 간직하고 있다. 지형적으로 북방방언 지역과 왕래하기 어려웠던 지역이었던 남방방언 지역의 언어는 고대한어의 모습을 간직한 채 독자적으로 분화하여 지금의 북방방언 지역의 언어와는 차이를 갖게 되었다. 예를 들어 북방방언에서는 냄비, 솥 등을 가리키는 말로 鍋를 쓰는 반면, 객가방언 지역에서는 鼎를 쓴다. 객가방언 지역에서 쓰는 鼎은 고대 제사음식을 올릴 때 쓰던 제기(祭器)였다. 이것은 고대 한어가 지금까지 보존되어 있는 예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고어(古語)의 보존은 문헌자료 부족으로 인한 언어의 통시적인 연구의 제약을 극복하고 문헌에서 얻을 수 없는 언어 연구 자료를 방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다시금 방언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한다. 가우리, 방언연구의 의의와 가치, 홈페이지:http://cafe.naver.com/gaury
때문에 방언의 연구는 고대 한어 모습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이 현대 한어 발전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참고문헌
《한어 주요 방언의 분포》, 소은희
《방언학》, 이상규 지음, 학연사 1995
《국어방언학》, 이상규 지음, 학연사 2003
《方言學-대우학술총서》, 이익섭 지음, 민음사 1984
《중국어란 무엇인가?》 최영애 지음, 통나무 1998
《중국의 8대 방언과 그 특징》, 전혜란 외 8명, 2005
《방언과 중국문화》, 전광진 지음, 영남대학교 출판부, p.135
《중국 언어학총론》, J.Norman, 동문선
《세계주요언어》, 변광수 지음, 한국외국어 대학교, 2003
《중국의 문화지리를 읽는다》, 후자오량 지음, 휴머니스트
《현대 중국의 객가인 객가문화》, 문지성, 이광철, 김대원, 최동표, 강택구, 김창아 지음, 學古房.
《중국어의 바다에서 헤엄쳐라》 , 김준수 지음, 아이필드
《중국풍속기행》, 치우환싱(丘桓興) 지음, 프리미엄북스, 2000
《중국인도 다시읽는 중국사람 이야기》, 중국 민정부 ․ 중국사회 출판사 편저,
에디터, 1998
《중국의 정체성》,강준영, 살림,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