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

 1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1
 2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2
 3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3
 4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4
 5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5
 6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6
 7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7
 8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8
 9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9
 10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10
 11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11
 12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12
 13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13
 14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14
 15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15
 16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방법

2.1 참여관찰법

2.2. 인터넷 문헌 조사

제2장. 본 론

1. 용어정의

1.1. Ethnic

1.2. Community

2. 국경 없는 마을 개괄

2.1. 설립배경 및 역사

2.2. 주민구성의 변화

3. 현장 조사

3.1. 들어가기 전 인식과 첫인상

3.2. 우리가 보았던 현장 모습.

3.3. 외국인 & 내국인 인터뷰

3.4. 인터뷰 후 달라진 인식, 새로운 문제점

제3장. 결 론


본문내용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흔히 사람들은 나와 너의 구분을 통해 정체성을 확인한다. 정체성 형성은 개인 간의 구분뿐만 아니라 문화 간의 경계 짓기에도 이루어진다. 그렇다면 ‘자문화’의 경계는 어디까지이며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가. 우리는 안산 원곡동의 ‘국경 없는 마을’을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문화의 생존을 확인하고, 타자화를 통한 자문화 형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국경 없는 마을을 통해 지구화와 지역화의 상호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그 속에 펼쳐지는 디아스포라민들의 생존현장이 지구성, 지역주의, 다문화공동체, 지구시민사회시민권 등 여러 가지 개념들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조사를 통해 타자에 대한 배척과 소외가 가득한 한국 사회와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 것인가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2. 연구의 방법

2.1 참여관찰법

다른 사회의 구성원들과 최초의 접촉을 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국경 없는 마을’에 직접 찾아가 외국인들의 생활상과 행동을 직접 관찰해 보고, 가기전의 인식과의 차이를 알아보기로 한다. 우리를 받아들이는 사회(host society)의 구성원들의 태도는 상당 부분 이들이 외부 사람들과 이미 가졌던 접촉에 의존하게 된다. 문화인류학 현지조사 방법, 줄리아 크레인 외 1명, 한경구 외 1명 역, p.22
그런데 몇몇 경우는 이런 접촉들이 불쾌한 것이었기 때문에 우리는 이 점을 고려해야 하며 우리의 행위를 이에 맞추어 조정해야 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