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계열] 난생신화에 관하여

 1  [인문사회계열] 난생신화에 관하여-1
 2  [인문사회계열] 난생신화에 관하여-2
 3  [인문사회계열] 난생신화에 관하여-3
 4  [인문사회계열] 난생신화에 관하여-4
 5  [인문사회계열] 난생신화에 관하여-5
 6  [인문사회계열] 난생신화에 관하여-6
 7  [인문사회계열] 난생신화에 관하여-7
 8  [인문사회계열] 난생신화에 관하여-8
 9  [인문사회계열] 난생신화에 관하여-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사회계열] 난생신화에 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난생신화란?
Ⅱ. 본론 : 난생신화
1. 우리나라의 난생신화
2. 난생의 의미
1) 외형적 특성 - 원형, 소우주
2) 생
명의 탄생
3) 비정상적인 탄생과 난생의 수용 양상
4) 비범성, 신성성의 부여
5) 왕권의 정당성 부여
6) 통합적 질서의 실현
7) 불교와의 연관성
3. 지역에 따른 난생의 특징:천손신화 + 난생신화(북방 + 남방)
Ⅲ. 정리

본문내용
Ⅰ. 서론

난생신화는 신란, 우주란, 인란 등 3가지 유형을 갖추고 있다. 신란과 우주란의 경우 신이 곧 우주를 만들기 때문에 유사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우주만물의 근원이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를 알고 싶어 했던 당시 사람들의 염원의 표출이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알의 경우 지금도 알이 먼저냐 닭이 먼저냐의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은 알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이 우주가 태초에 알에서 생겨났다고 하면 그럴 듯하다. 하지만 인란의 경우는 다르다. 그 전에도 인간이 있었으므로 굳이 인란을 통해 그 근원을 파악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인란 신화의 경우 우리는 그것의 다른 이유와 의미를 찾아보아야 한다. 또한 난생신화를 갖고 있는 나라 중 우주란이나 신란 신화는 없는 나라도 꽤 있으나, 어느 나라든 인란 신화를 갖지 않은 나라는 없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경우 모든 난생신화가 인란신화이므로 우리 조는 난생신화 유형 가운데 가장 보편적인 유형인 인란신화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난생신화에서 난생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 난생신화란?

고대신화에서 영웅이나 건국시조의 탄생을 신비화시키고 초인적(超人的)인 권위를 부여하기 위하여 알 속에서 태어났다고 하는 설화을 말한다. 난생설(卵生說)이라고도 한다. 한국에서의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와 석탈해(昔脫解)·김알지(金閼智)·수로왕(首露王)·동명왕(東明王) 등이 모두 그러한 예이다.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난생설은 고대 민족의 신앙에서 비롯된 우주관이고 민족철학이라 하겠으며, 이러한 설화는 특히 동북아시아 지방 민족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Ⅱ. 본론 : 난생신화

1. 우리나라의 난생신화

우선 우리나라의 난생신화인 고주몽 신화, 박혁거세 신화, 석탈해 신화, 김수로 신화에서 그 탄생 부분을 살펴보도록 하자.

* 고주몽 신화(삼국사기)
...부루가 죽자 금와가 왕위를 이었다. 이 때 왕이 태뱁산 남쪽 우발수에서 한 여자를 만나 사정을 물으니 대답하기
참고문헌
* 참고문헌
김병모, 〈금관의 비밀〉, 푸른역사, 1998.
김양기 외, 〈한국으로 읽는 한국사〉, 휴머니스트, 2002.
김재붕, 〈난생신화의 분포권〉, 한국문화인류학회, 1971.
박상란, 〈신라와 가야의 건국신화〉, 한국학술정보(주), 2005.
이범교, 〈삼국유사의 종합적 해석〉, 민족사, 2005.
이지희, 〈아시아 지역 난생신화의 유형과 의미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2005.
정구복, 〈새로 읽는 삼국사기〉, 동방미디어, 2000.
조태영, 〈한국 난생신화와 한국문학의 원형〉, 한신인문학연구, 2001.
최광식, 〈우리 고대사의 성문을 열다〉, 한길사, 2004.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101&eid=kyyK9EKlRRbeTJjLyv+qFz+NVLnvPhh1&ts=1110354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