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

 1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1
 2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2
 3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3
 4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4
 5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5
 6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6
 7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7
 8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8
 9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9
 10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10
 11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11
 12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12
 13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13
 14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14
 15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도덕경 내용 요약
제 1장
제 2장
제 3장
제 4장
제 5장
제 6장
제 7장
제 8장
제 9장
제 10장
제 11장
제 12장
제 13장
제 14장
제 15장
제 16장
제 17장
제 18장
제 19장
제 20장

Ⅲ. 도

Ⅳ. 덕
1. 도와 덕의 관련성
2. 도를 체현한 성인

Ⅴ. 무위자연

Ⅵ. 결론

본문내용
본능적으로 인간은 남보다 우월하려고 하는 욕구, 남에게 지기 싫어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실생활에서도 어렵지 않게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는데, 말을 할 때 자신을 높이고 남을 억누름으로써 은연중에 상대방의 기를 꺾는다든지, 말싸움 할 때 감정이 격화되면 상대의 말꼬리를 붙 잡고 자신의 패배를 인정하지 않는 것 등이 그것일 것이다. 인간도 하나의 생물이기 때문에 모든 생명체가 본능적으로 가지게 되는 자기 보존의 본능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노자가 말하는 겸양, 겸손함은 이래서 실제로 실천하기 매우 어려운 것이다. 겸손함이 미덕임은 사회 통념적으로도 널리 인정되어 있는 사실임에는 틀림없으나, 자기 자신을 낮추고 겸양하여 보이지 않는 곳에서 빛나는 것도 자신은 겸손하므로 남들과는 다르다는 식의 남보다 우월하고자 하는 욕망의 간접적인 발현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의식적으로 부단한 수양을 하다 보면 凡人들도 몸과 마음이 낮아져서 사람들에게 많은 감화를 주게 될 것이다. 여기서 지적하고 싶은 것은 노자가 말한 것 같이 헛된 공명심, 우월 의식을 초월한다는 것은 수도 생활을 業으로 하는 수도승이나 성직자가 아닌 이상 매우 힘들 것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자신이 먼저 고개를 숙이고 낮아지면 본의 아니게 상대방으로부터 약자로 오인 받을 수 있다. 약자에게는 강한 것이 생물체의 본능인지라, 철저하게 겸손하고자 하는 자는 남들이 자신에게 가하는 업신여김이나 조소 같은 것들을 필연적으로 감내 해 내어야 하는 운명을 피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또한, 본능적으로 우러나오는 남으로부터 인정받으려는 욕구와 갈등 작용을 일으켜, 겉으로는 온화하고 겸손하지만 속으로는 여러 가지 갈등으로 인하여 심하면 화병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는 위험에 처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무골 호인으로 이름난 황희 정승의 경우에도 밤마다 번뇌로 잠을 제대로 이룬 적이 종종 있었다고 하는 일화를 보더라도 그것을 알 수있다. 그렇다고 해서 잘난 척하고 자신을 내세우라는 것은 결코 아니다. 현실적으로 몸과 마음이 ‘완전히’, ‘진심으로’,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이’ 겸손하기란 무척이나 어려운 것이어서, 그것은 인간으로서는 도달하기 불가능한 하나의 영역이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 정도이다.

Ⅱ. 도덕경 내용 요약

제 1장
말로 설명된 진리는 영원한 진리가 아니다. 이름도 영원히 변하지 않는 절대적인 이름은 없다. / 이름을 붙일 수 없는 진리 자체에서 하늘과 땅이 나왔으며 진리의 작용으로 말미암아 이름을 가진 만물이 나온다. / 나는 늘 눈에 보이지 않는 진리 자체와 진리의 작용으로 나타난 현상을 동시에 보고자 한다. / 이름도 없고 형체도 없는 진리 자체와 진리의 작용으로 나타난 현상은 둘이 아니다. 단지 진리가 현상으로 나타나면서 다른 이름이 붙었을 뿐이다. / 실체와 현상이 동일하다는 것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사실이 그러하니 아득하고 신비롭다. 실체가 곧 현상이요, 현상이 곧 실체이다. / 정신계와 물질계의 모든 신비한 현상이 다 실체와 현상의 작용이다.

제 2장
온 세상 사람이 모두 아름다운 것을 아름답다고 여기지만, 무엇을 아름답다고 여기면 그와 동시에 추한 것도 생긴다. 온 세상 사람이 모두 좋은 것을 좋다고 여기지만, 무엇을 좋다고 여기면 그와 동시에 좋지 못한 것도 생긴다. 어느 한 쪽을 인정하는 것은 다른 쪽이 있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 모양 있는 현상과 모양 없는 근원, 어려움과 쉬움, 길고 짧음, 높고 낮음, 맑은 소리와 탁한 소리, 앞과 뒤, 이런 것은 모두 상대적으로 동시에 생긴다. / 그러므로 진리를 깨달은 사람은 무슨 일을 하든 욕심을 부려 억지로 하지 않으며, 누구를 훈계하거나 가르치려 들지도 않는다.

제 3장
학벌과 재능 있는 사람을 높이면, 질투심과 경쟁심이 일어나 사람들 사이에서 다툼 사라지지 않는다. 재물을 너무 귀하게 여기면, 소유에 대한 욕망이 생겨 남의 것을 훔치려고 할 것이다. 욕심을 일으킬 만한 것을 과시하지 않으면, 사람들의 마음은 흔들리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