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무가 바리공주에 대한 고찰

 1  서사무가 바리공주에 대한 고찰-1
 2  서사무가 바리공주에 대한 고찰-2
 3  서사무가 바리공주에 대한 고찰-3
 4  서사무가 바리공주에 대한 고찰-4
 5  서사무가 바리공주에 대한 고찰-5
 6  서사무가 바리공주에 대한 고찰-6
 7  서사무가 바리공주에 대한 고찰-7
 8  서사무가 바리공주에 대한 고찰-8
 9  서사무가 바리공주에 대한 고찰-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서사무가 바리공주에 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고찰

Ⅰ. 서사무가

Ⅱ.

Ⅲ. 의 지역별 특성

1. 서울ㆍ경기지역
2. 함경도지역 (함흥과 홍원)
3. 경상도지역 (안동과 동해안)
4. 전라도지역 (광주와 나로도)
5. 의 지역별 특성 정리

Ⅳ. 바리공주의 현대적 변용

1. 연극 - 죽음의 형식
2. 영화

본문내용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고찰

Ⅰ. 서사무가

신의 일생과 내력을 밝혀주는 무가로 ‘본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무속신의 내력을 이야기한다는 점에서 무속신화이기도 하며, 악기 반주에 맞춰 이야기를 노래로 들려준다는 점에서 구비서사시이기도 하다. 서사무가는 고대에서 형성되어 현재까지 전승된 한국의 문화유산으로서 오늘날에도 굿판에서 무당에 의해 활발하게 가창되고 있다.


Ⅱ.

광포유형으로서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무속신화이다. 진오귀굿의 핵심적인 기능을 하며 이러한 굿이 거행되는 곳에서는 반드시 바리공주계통의 서사무가를 구연한다. 지역에 따라 무가의 내용은 차이가 있으나, 여러 지역의 공통적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왕이 금년에 결혼하면 딸만 7명을 낳는다는 금기를 어기고 결혼 (고귀한 혈통)
② 7명의 공주만 계속해서 태어남 (기이한 탄생)
③ 왕은 일곱 째 바리공주를 버림 (1차 시련)
④ 바리공주는 새로운 양육자를 만나게 되고, (원조자의 도움)
⑤ 왕은 아기를 버린 죄로 병에 걸려 저승의 약을 길어다 먹어야 나을 수 있음
⑥ 집에서 기른 여섯 공주들은 약물 길어오기를(=저승길 가기를) 거절
⑦ 마지막 희망인 막내 바리공주를 찾아 데려옴
⑧ 바리공주는 저승으로 구약(救藥) 여행을 떠남 (비범한 능력)
⑨ 많은 시련과 고난 - 약물 관리자와 결혼, 아들 낳아줌 (2차 시련)
⑩ 바리공주가 저승의 약물을 써서 왕을 살림
⑪ 그 공으로 바리공주는 이승과 저승의 길을 인도하는 무신(巫神)이 됨 (성취)

바리공주는 죽은 사람을 살리기 위한 저승여행의 이야기로, 삶이 죽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저승의 세계가 이어진다는 죽음의 관념이 잘 드러난다. 또한 바리공주의 아버지가 그녀를 버린 벌로 병이 드는 것은 불교의 인과응보 사상을 보여준다. 결말에서는 효녀 바리공주가 국가의 공신으로서 집단적 추앙을 받는 영웅이 된다는 점에서 효 사상을 강조하고 있으며, 또한 영웅서사문학의 면모도 선명하게 보여준다. 즉, 바리공주의 [고귀한 혈통→ 기이한 탄생→ 1차 시련→ 원조자의 도움→ 2차 시련→ 성취] 과정이 영웅의 서사구조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오직 딸이라는 이유로 아버지에게 버려졌던 바리공주가 그의 약을 구하기 위해 다시 만나는 것은 단지 소유물로만 딸을 생각하여 원한다면 버렸다가도 다시 취할 수 있는 가부장적 세계관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서대석(1980), 韓國巫歌의 硏究. 文學思想社
․ 조동일 외 6인(2005), 한국문학강의. 길벗
․ 조동일(2005),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 한국정신문화연구원(2001), 디지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동방미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