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

 1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1
 2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2
 3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3
 4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4
 5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5
 6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6
 7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7
 8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8
 9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9
 10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10
 11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11
 12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12
 13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13
 14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14
 15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15
 16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16
 17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17
 18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18
 19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19
 20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론] 무가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무가의 성격
가. 무가의 개론
나. 무가의 특성

2. 무가 연구사 개략

3. 무가 자료
가. 무가 자료 수집 현황
나. 자료의 문제점

4. 무가의 종류와 계통
가. 무가의 종류
나. 무가의 계통

5. 무가의 지역적 보편성과 특수성

6. 무가의 갈래
가. 교술무가
나. 서정무가
다. 서사무가
라. 희곡무가

7. 무가의 문학사적 의의

* 참고문헌 *


본문내용
6) 공수
- 무당이 신이 내려서 인간들에게 신의 말을 전하는 것이다. 축원이 신을 향한 인간의 말이라면, 공수는 인간을 향한 신의 말이라는 점에 반대되는 성격을 가진다. 공수는 접신(接神)이 가능한 무당이라야만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강신무의 공수라야 진정한 공수라고 할 수 있다. 서울지역 굿에서의 가망공수, 산마누라공수, 말명공수 등이 그 예이며, 오구굿에서 죽은 사람의 혼이 무당을 통해 하는 넋두리도 일종의 공수라고 할 수 있다. 공수는 신이 인간에게 자신의 불만을 토로하는 것으로 시작되지만, 인간들이 간절히 빌면, 용서하고 더 잘 모시라는 충고와 함께 축복하는 말로 끝맺는 것이 상례이다. 공수는 자연인인 무당이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이 무당의 입을 빌려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투와 어조가 다른 부분과는 다르다. ‘해라’체의 반말로 내려지고, 어조도 높고 가는 목소리여서 알아듣기 힘든 경우가 많다.

나. 서정무가 강등학 외,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5 pp338~343

서정무가는 무가의 문학적 갈래 가운데 서정적 경향을 띤 무가를 말한다. 「노랫가락」,「창부타령」등이 대표적인 예이고, 전라도를 비롯한 여러 지역의 무가에서도 서정무가를 발견할 수 있다. 전라도 지역에서는 씻김굿에 서정무가가 많은데, 망자의 서러운 처지와 하소연이 무당의 입을 통해서 제시되므로 서정적인 밀도를 갖추고 있다.
서울과 경기도, 동해안지역의 굿에서만 「노랫가락」이나「창부타령」이 불려진다. 그리고 전라도의 씻김굿에서는 「초가망석」,「넋올리기」,「희설」,「길닦음」등의 굿거리에서 많은 서정무가가 발견된다. 서울과 경기도는 지역적으로 인접해 있어서 「노랫가락」이 특정한 굿거리에 체계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전라도의 서정무가는 전체적인 재차에서 특정 대
참고문헌

*참고문헌*

1. 강등학 외.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5
2. 김영돈, 현용준, 『제주도 무당굿 놀이』,문화재관리국, 1965
3. 김태곤 외. 『한국 구비문학개론』. 민속원 1996
4. 김태곤, “한국무가연구1”, 한국민속학보 제3호(서울:한국민속학회, 1994)
5. 윤용식․최래옥. 『구비문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1994)
6. 이수빈, 「무가교육의 교육적 효용성 연구 : 바리공주와 당금애기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대학원, 2006.
7. 장덕순외. 『구비문학개설』. 일조각(2003)
8.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