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

 1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1
 2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2
 3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3
 4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4
 5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5
 6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6
 7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7
 8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8
 9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9
 10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10
 11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11
 12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12
 13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13
 14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14
 15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15
 16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16
 17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17
 18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18
 19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19
 20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이상화작가 연보와 생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작가연보
Ⅱ. 시세계

1.이상화 시의 정체-박철희
2. 李相和의 詩와 그 文學史的 意義 -鄭漢模
Ⅲ. 텍스트 분석
1.어두운 빛의 美學
2. 이상화의 시작 전반을 관통하는 저항성-
3.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기호학적 분석-
본문내용
Ⅱ. 시세계

1.이상화 시의 정체-박철희

1) 1920년대의 시대적 특성과 이상화의 시

한국 시사에 있어서 1920년대는 자기 동일성(ego-identity)의 상실이 강조되었던 시기이다. 자기동일성의 상실은 말하자면 고향상실·임 그리움· 이별과 같은 자기 동일화의 구심점을 잃고 방황하는 상태이며, 그것은 주로 전통문화와 외래문화의 갈등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서구화의 격랑 속에서 전통과 단절할 수도 없고, 서구에의 완전한 동일화도 불가능한 갈등, 이른바 두 가지 문화 속에 살면서도 그러나 그 어느 문화에도 동일화할 수 없었던 소속감의 상실을 1920년대의 시는 전체로 체험하고 있었다.
1920년대 시에 자주 나타나고 있는 슬픔·눈물·꿈·죽음 등은 자기 동일성의 상실의 표현인 동시에 동일성의 회복을 지향하는 낭만적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1920년대의 초기시 이후 1920년대 중반기를 고비로 하여 김억,·주요한·홍사용 등의 개인적 감상시가 민요 지향성으로 기울어 진 것은 한국 시사의 중요한 변화라고 보여진다. 김소월이 시의 율격을 민요에서 찾았고, 홍사용의 시학이 민요의 발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때 그 점이 명백해진다.
이런 뜻에서 이상화가 1925년을 전후하여 초기의 개인적 감상시에서 현실시에의 변화를 나타냈다는 것은 그에게 있어서 발전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상화의 현실파악의 방법이 「그날이 그립다」 「몽환병」「말세의 희탄」 등이 보여준 눈물·원한·밤·죽음과 같은 충동적이고 개인적인 절규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빈촌의 밤」「역천」등에 이르러 보편적이고 집단적인 절규로 바뀐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보다 큰 호소력을 갖는다고 할 때 적어도 그것은 이상화의 현실 파악 방법이 현실에 밀착된 경험의 세계를 지양함으로 가능한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