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

 1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1
 2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2
 3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3
 4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4
 5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5
 6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6
 7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7
 8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8
 9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9
 10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10
 11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11
 12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속요 정의

2. 본론

1) 역사적 배경

2) 쌍화점 원문 및 해석

3) 시어/시구분석

4) 문학적 분석

5) 연구사검토

3. 결론 : 고려속요 ‘쌍화점’에 대한 조의 견해 및 현대적 의의

본문내용
(2) 시구분석
① 매 연 1~2행
남성의 행위는 음험하면서 적극적이고 여성은 일방적으로 당하는 입장으로 되어 있어서 일견 여인 자신의 의지와는 전혀 무관한 상태에 휘말려 엄청난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작품전체의 분위기와 관련시켜 보면 여자 편에서 먼저 남성으로 하여금 성적(性的)인 호기심을 유발하여 남성이 행동을 취하게 분위기를 형성한 뒤 마치 자신은 못 이기는 척 이끌려 들어간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② 3, 4, 5행
3․4․5행은 회회(回回)아비와 이렇게 관계를 맺은 여인이 현장의 목격자인 ‘죠그맛간 삿기광대’에게 소문이 나지 않도록 일러두는 내용이다. 여기에 대해서 박노준은 소문이 퍼진 후 돌아올 사회적 도덕률과 규범에 의한 지탄을 두려워한 나머지 두려움에 떨고 있는 여인이 행여나 믿어보자는 심사에서 철들지 않은 어린 광대에게 구차스런 부탁을 하였다고 헤아리고 있다. 결국, 앞 절 5행까지의 내용은 성적인 유희에 빠진 여인의 추한 모습, 그리고 사회적인 지탄과 비난이 두려워서 전전긍긍하는 모습, 이렇게 양면적인 모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③ 긔 자리예 나도 자라가리라
소문이 퍼지고 그 소문을 들은 제2의 화자가 ‘그의 침소에 나도 자러가겠다.’라고 말하면서 후반부는 시작되는 데 여기 와서 성적인 문란(紊亂)의 도는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 한 마디로 인해서 작품전체의 음란의 도는 훨씬 배가되고 제1 화자의 행위 역시 수동적인 것만은 아님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