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

 1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1
 2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2
 3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3
 4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4
 5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5
 6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6
 7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7
 8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8
 9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9
 10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10
 11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11
 12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12
 13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13
 14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진예술] 1950년대 신 영상주의출현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신 영상주의 출현
- 당시의 미술사조
2. 로버트 프랭크
- 로버트 프랭크의 약력
- 로버트 프랭크의 사진세계
- 『미국인들(Amerians)』

3. 윌리엄 클라인
- 윌리엄 클라인의 약력
- 윌리엄 클라인의 사진세계
- 『뉴욕』

4. 로버트 프랭크와 윌리엄 클라인 비교

5. 현대 사진사에서 두 인물

6. 1960년대 사진의 모습
본문내용
1. 신 영상주의 출현

1950년대 이후를 통틀어 현대사진시대라고 일컫는다. 그것은 영상언어의 기능을 중시한 영상사진의 대두를 의미한다. 영상사진 즉 현대사진의 등장은 어린이가 태어나서 성장하는 가운데 모국어를 익히는 언어 학습의 발달 과정과 동일한 구조로 파악되며, 인류가 영상언어를 채택하여 완숙한 발전적 진화단계로 진입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영상사진은 내면적인 의식세계를 언어와 마찬가지로 심도 있게 영상 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1950년대부터 그 이전과 두드러지게 표현의식의 변화가 일어났다. 즉 표현의 다양화, 표현의 심층화 현상이다. 이것은 일차적으로 영상언어의 사유화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영상언어의 사유화란 전달매체로서의 사진이 사진가의 의식체계와 심층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현대사진의 특색으로 영상의 내면화, 주관화 경향이 뚜렷한데 이것은 영상적인 의사전달의 점진적인 숙달과 동화로 개인들이 각자마다 사유화하고 있는 언어처럼 영상언어의 개별적인 소유화 현상이 바로 그것이다. 현대사진의 내면화 현상은 새로운 시대의식에 의해서 세계가 바라보는 관점의 변혁과 그리고 인식의 범주인 시간과 공간의식의 변화가 가져온 결과이다.
1950년 이전은 객관적인 보도사진의 전성기를 맞고 있었으며, 사진은 사건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중요한 매체였다. 그러나 1950년대 말 새로운 전달 미디어인 TV가 시각적인 정보를 대신하게 되면서 사진은 대전환을 하게 된다. 현대사진의 사진 적 시각이란 눈앞의 현실을 기계를 통해서 기록하고 해석 하는데서 나오는 독특한 메카니즘 시각을 말하는 것이었다. 사진이 현실세계에 존재하는데 인간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것들을 기록하기 시작 했을 때 그전까지 인간의 눈으로 직접 본 것만을 시각적 진실이라고 믿고 있었던 사람들에게는 큰 혼란을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이와 같이 카메라의 거시적 미시적인 시각 혹은 초고속의 시각은 우리 눈을 뛰어넘는 새로운 시각으로 인간의 시각의 범위를 확장 시켜주었다. 뿐만 아니라 실지 현실과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카메라의 창조적 새로운 시각은 이 세계 사물을 새롭고 다양하게 볼 수 있게 해주는 하나의 자기표현의 도구로 인식되어짐으로서 사진은 비로소 하나의 예술의 장르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앙드레 루이예 저, 정진국 역, 『세계사진사』, 까치글방, 2003.
이토 도시하루 저, 이병용 역, 『20세기 사진사』, 현대미학사, 1994.
육명심, 『세계사진가론』, 열화당, 1992.
고성도, 「풍경 사진에 나타난 은유적 표현에 대한 고찰: 사진작업
“풍경, 그 소리”를 중심으로」, 부경대 산업대학원, 2006.
조극래, 「내 마음의 도시풍경, 그 사진적 표현에 관한 연구」, 부경대 산업대학원, 2005.
이소연, 「1950년대 미국 다큐멘터리 사진에 관한 고찰
윌리엄 클라인 『뉴욕』을 중심으로」,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2001.
김영태, 「새로운 시각으로서의 Documentary 사진에 대한 연구 : Lee Friedlander, Garry winogrand, Diane Arbus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경성대 산업대학원, 199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