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Ausubel의 수업이론] 오우즈벨(P. D. Ausubel)의 선행조직자 적용방안

 1  [교육공학-Ausubel의 수업이론] 오우즈벨(P. D. Ausubel)의 선행조직자 적용방안-1
 2  [교육공학-Ausubel의 수업이론] 오우즈벨(P. D. Ausubel)의 선행조직자 적용방안-2
 3  [교육공학-Ausubel의 수업이론] 오우즈벨(P. D. Ausubel)의 선행조직자 적용방안-3
 4  [교육공학-Ausubel의 수업이론] 오우즈벨(P. D. Ausubel)의 선행조직자 적용방안-4
 5  [교육공학-Ausubel의 수업이론] 오우즈벨(P. D. Ausubel)의 선행조직자 적용방안-5
 6  [교육공학-Ausubel의 수업이론] 오우즈벨(P. D. Ausubel)의 선행조직자 적용방안-6
 7  [교육공학-Ausubel의 수업이론] 오우즈벨(P. D. Ausubel)의 선행조직자 적용방안-7
 8  [교육공학-Ausubel의 수업이론] 오우즈벨(P. D. Ausubel)의 선행조직자 적용방안-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공학-Ausubel의 수업이론] 오우즈벨(P. D. Ausubel)의 선행조직자 적용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Ausubel의 수업이론
1) 유의미 학습
2) 선행조직자
※ Ausubel의 선행조직자 수업모형
(주)지학사 Middle School English(예시)
※ Ausubel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Ausubel의 수업이론

Ausubel은 교사가 많은 양의 정보를 의미있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에 관심을 두었다. 그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인지적 교수・학습의 과정에 기초한 설명적 수업이론을 제시하였다. 설명적 수업이론에서는 기계적 학습(rote learning)이 아닌 유의미학습(meaningful learning)을 강조하고 있다. Ausubel의 구체적인 이론은 다음과 같다.

1) 유의미 학습

Ausubel은 언어적인 정보 혹은 관념들 간의 관련성 또는 결합을 통해 유의미한 학습이 발생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인지구조와 학습과제 두 변인을 상호 관련짓고 있다. 그이 따르면, 인지구조(cognitive-structure)란 지각하는 현상을 통합적・위계적으로 조직한 것을 의미한다. 즉 학습자가 가진 조직화된 개념이나 관념의 집합체가 인지구조인 것이다. 새로운 학습 내용이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포섭될 수 있는 관련성이 있으면 학습은 촉진되고, 기존의 지식은 새로운 지식을 포섭하여 지식이 폭을 넓혀 간다. 여기서 포섭(subsumption)이란 새로운 명제의 아이디어가 이미 학습자의 머리 속에 조직되어 존재하고 있는 보다 포괄적인 인지구조 속으로 동화 또는 일체화되는 과정이다. Ausubel에 의하면 유의미학습은 새로운 내용이 기존의 지식과 논리적인 관련성을 가질 때 일어난다. 그리고 이러한 논리적 관련성은 학습과제가 실사성과 구속성을 가질 때 가능하다. 실사성(substantiveness)이란 그 구조와 내용을 어떻게 표현하더라도 그 의미와 본성이 변하지 않는 불변적이고 절대적인 특성을 의미한다. 즉 어떤 부호나 기호를 사용하더라도 그 의미가 변화되지 않는 개념・법칙・이론・명제 등에 내재된 본질적 속성을 말한다. 예컨대, 전류・전압・저항 등의 개념과 그 관계는 어떤 부호나 문장 및 언어로 표현되더라도 그것의 본질적인 속성은 변화되지 않고 인식될 수 있다. 구속성(nonarbitrariness)은 학습자가 자신의 의미를 통해서 어느 정도 깨달을 수 있는 추상적 용어로 인지구조에 연결될 수 있는 학습과제의 성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습과제가 구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말은 학습자가 그 학습과제를 관련 인지구조에 연결할 수 있는 적절하고 명확한 근거를 갖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학습과제가 실사성과 구속성을 가질 때 학습자는 자신의 인지구조와 의미있게 관련지울 수 있는데, 이 때 그 학습과제는 논리적 유의미가(logical meaningfulness)를 갖는다. 논리적 유의미가를 가진 과제는 인지구조에 있는 관련지식과 관계를 맺을 때 의미있는 학습이 이루어진다. 새로운 과제를 흡수할 수 있는 지식을 관련정착지식(relevant anchoring idea)이라 한다. 인지구조 속에 관련정착지식이 있을 때 그 과제는 잠재적 유의미가(potential meaningfulness)를 갖는다고 한다. 그러나 학습과제가 학습자에 대하여 잠재적 유의미가를 지니고 있어도 학습자가 학습태세를 갖추고 있지 않으면 유의미학습이 일어나지
참고문헌
박성익 외 3인,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2000.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1세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교육과학사, 2001.
박인학, 교사를 위한 교재연구 및 지도법의 이해, 서울: 大旺社, 2002.
유택열, 수업연구와 실재, 서울: 교육과학사, 2002.
하고 싶은 말
교육공학 보고서 입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