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민족시인 김소월에 대해서

 1  [국문학] 민족시인 김소월에 대해서-1
 2  [국문학] 민족시인 김소월에 대해서-2
 3  [국문학] 민족시인 김소월에 대해서-3
 4  [국문학] 민족시인 김소월에 대해서-4
 5  [국문학] 민족시인 김소월에 대해서-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민족시인 김소월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김소월의 생애

◎ 김소월의 작품 활동

◎ 김소월 작품의 특성

◎ 참고 문헌

본문내용
◎김소월 작품의 특성

1920년대 중반 이후 우리의 전통적 정서를 바탕으로 이를 새로운 차원에서 형상화해 낸 시인이 김소월이다. 이들은 당대의 문한청년들 대부분이 유행처럼 달고 다녔던 서구 문화적 경험 세계에 휩쓸리지 않고 이와는 다른 방향에서 시작활동을 펴 나간 결과, 그러한 지향적 면모에서는 창출되기 어려운 새로운 시 세계를 구축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김소월의 등장은 분명 우리 시문학사에 있어서 획기적인 의의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는 시작활동을 하는 초기부터 이른바 민요조의 서정시에 깊은 관심을 보였는데, 이는 그의 스승이자 비슷한 시적 지향을 보인 김억의 영향이기도 하겠지만, 그보다는 당대의 한국 근대시가 보여준 방만한 틀과 정서적 불안정성 및 형태상의 난맥상 들을 지양, 극복하고자 한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는 간결하고도 짜임새 있는 구조와 작품적 질서를 통해 시상을 가다듬고, 이를 친숙한 리듬의식 속에서 형상화하였다.
김소월의 시적 특징은 무엇보다도 그 형태상의 정체성과 우리의 전통 시가에서 흔히 보이는 율격적 질서를 새롭게 변용한 점에 있다. 그는 특히 민요의 3음보 격과 4음보 격을 적절히 응용하여 이미지의 공간을 확정시키고, 그 환기된 정서를 배경으로 내면의식을 구체화시키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그의 시가 드러내고 있는 성격적 특징은 또한 시적 제재의 저변확대와 적절한 어휘구사를 통한 내면정조의 확충으로 드러난다. 이점 역시 우리의 전통적 삶 속에 내재된 응어리진 애환이나 보편적 공감대를 형성시키는 간전한 생활의식과 긴밀한 연계를 맺는 차원에서 수용되어, 민요적 정서와도 상통하는 면모를 띠고 있다.
소월에 대한 기왕의 평가는 만해나 상화처럼 역사의 지평을 향해 노래한 저항시인으로 인정받거나, 주요한, 박영희, 홍사용처럼 병적 낭만주의 시인으로 지목되기보다 오히려 반문명적 전통 시인으로 굳어진 것이 확실하다.
참고문헌
『김소월 그 삶과 문학』오세영, 서울대출판(2000)
『한국현대 시인연구 上』문덕수, 푸른사상(2001)
『김소월과 조기천의 시어 사용 양상 비교 연구』강용택, 역락(2003)
『김소월』 김학동, 서강대학교출판부(1998)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두산동아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