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

 1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1
 2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2
 3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3
 4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4
 5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5
 6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6
 7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7
 8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8
 9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9
 10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10
 11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11
 12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12
 13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13
 14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14
 15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15
 16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노사관계]주5일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하여 -노조측의 입장에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주 5일 근무제란?
1). 근로시간 단축 Vs 주5일 근무제
2). 근로시간 단축의 역사
3). 법정 근로시간 단축 논의 경과
2. 주5일 근무제가 경제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 검토
1). 고용에 미치는 영향
2).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
3). 실근로시간에 미치는 영향
4). 근로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Ⅱ. 본론
1. 주5일 근무제 정부입법안에 대한 민주노총의 입장
1) 노동조건 악화, 중소영세 비정규노동자 소외시키는 노동법 개악 음모
2) 중소영세 비정규노동자, 여성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노동착취와 차별 강화하는 정부안
3) 삶의 질 되레 악화시키는 노동조건 개악 기도
4) 실노동시간 줄지 않는 엉터리 주5일제
2. 주요 쟁점에 대한 민주노총의 입장
1) 시행시기
2) 탄력적 근로시간제
3) 연월차 휴가
4) 초과노동한도, 할증률
5) 임금보전
6) 주휴무급화
7) 생리휴가

Ⅲ. 결론
1. 민주노총의 요구
참고자료(관련기사모음)
본문내용
Ⅰ. 서론
1. 주 5일 근무제란?
1). 근로시간 단축 Vs 주5일 근무제
일반적으로 「근로시간 단축」과 「주5일 근무제」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주 40시간제」도입이 곧 「주5일 근무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어느 나라도 법률에 주5일 근무제라고 명시된 국가는 없음.
- 주5일 근무제의 정확한 표현은 「주 40시간제」이며, 「주5일 근무제」도입 논의가 아니라 현행 주 44시간인 법정근로시간을 주 40시간으로 단축하는 「법정근로시간 단축」논의라고 하는 것이 옳음.
왜냐하면, 법정근로시간이 주 44시간인 현행법의 테두리에서도 얼마든지 주5일 근무제는 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 40시간제」가 된다고 해서 토요일이 「법정 휴일」로 간주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 예컨대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하루에 9시간 근무하고 금요일은 8시간 일한다면 주5일 근무제가 되며 아울러 주어진 연·월차휴가를 사용하여 토요일에 쉰다면 이 또한 주5일 근무제가 될 수 있음. 실제로 휴가를 사용하여 이미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한 기업도 다수 있음.
-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7시간 근무하고, 토요일은 5시간 일한다면 「주 40시간제」이면서도 「주6일 근무제」가 되는 것임.
이렇듯 주5일 근무제가 모호한 표현이기는 하나 편의상 주 40시간을 전제로 한 주5일 근무제로 계속 지칭하기로 한다.
2). 근로시간 단축의 역사
1890년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