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법] 부정과 부정문

 1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1
 2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2
 3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3
 4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4
 5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5
 6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6
 7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7
 8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8
 9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9
 10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10
 11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11
 12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12
 13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13
 14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14
 15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15
 16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법] 부정과 부정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부정과 부정문
2. 부정문의 형식과 특징
3. 이중 부정문
3.1. 이중 부정문의 개념
3.2. 이중 부정문의 의미 기능
4. 화용상에서의 부정
4.1. 확인문
4.2. 회의문
본문내용

들어가며
우리말의 부정문은 다른 언어에 비하여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어휘부정뿐만 아니라 형태론적 방법에서는 주로 한자어 계열의 접두사 “非, 不, 無, 否, 未, 勿, 沒, 莫” 등을 이용하여 부정의 의미를 만들기도 한다. 그리고 통사적으로 보면 일반적으로 장형과 단형이라고 부르는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이도 청유문과 명령문에서는 ‘-지 말-’이라는 다른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성을 보이는 우리말의 부정문에 대해서 많은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부정과 부정문의 개념에 관한 고찰에서부터 부정문의 제약, 화용상에서의 부정 등이 그것이다. 여기에서는 부정과 부정문의 개념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부정문의 특징과 형식, 그리고 이중부정문과 화용상의 부정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부정과 부정문
국어 부정법 논의에서는 부정의 의미를 확실히 규정한 다음에 부정법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만약 부정을 '부정되는 서술어에 의해 나타나는 동작이나 상태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이해한다면, '못, 말-,' 등은 부정 표현에 포함될 수 없다. 따라서, 부정의 의미를 명확하게 규정하기 위해서는 국어의 부정법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학교 문법에서는 부정의 개념으로 부정소 ‘안(아니), -지 않-, 말-, 못’ 이 쓰여 부정문을 이루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이외에도 부정소가 쓰이지는 않지만 부정의 의미를 지니는 경우와 특수 부정문에 관해서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 개념으로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부정의 개념에 대해 언급한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구종남(1992), "국어 부정문 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동식(1981), “부정 아닌 부정", 언어 6-2.
김천겸(1997), "국어의 부정 표현 및 부정소의 작용역에 관한 화용론적 고찰", 조선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박정규(2002), 「국어부정문의 체계적 연구」, 보고사.
박형우(2003), "한국어 부정문의 변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정수(1994), 「국어문법」, 뿌리깊은 나무.
오숙화(1994), "현대국어 부정문 연구: 부정극어와 이중 부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이관규(2005), 「국어 교육을 위한 국어 문법론」, 집문당.
이관규(2005), 「학교문법론」, 월인사
이상화(1989), "현대국어의 부정적인 표현의미 구조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이영석(1991), "국어부정문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경기(1986), "국어 부정 의문문과 전제", 어학연구 22-1.
장석진(1984), “국어의 부가 의문문-형식과 기능-”, 언어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