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부정문의 이해

 1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1
 2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2
 3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3
 4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4
 5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5
 6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6
 7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7
 8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8
 9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9
 10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10
 11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11
 12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12
 13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13
 14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14
 15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15
 16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16
 17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17
 18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18
 19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19
 20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부정문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부정과 부정문
1.1.부정과 부정문의 이해
1.2.부정문의 의미
1.3.부정문의 형성조건
1.4.부정문의 유형분류
2.동일기저형과 여러개의 기저형
2.1.동일 기저형
2.2.여러개의 기저구조
2.3.기저구조의 수형도
2.4.‘동의’,‘이의’ 보다는 ‘분포의 차이’
3.‘안’,‘못’,‘말-’부정문
3.1.‘안’ 부정문
3.2.‘못’ 부정문
3.3.‘말-’부정문
4.이중부정문
4.1.이중부정문의 개념
4.2.이중부정문의 의미기능
5.부정 극어
5.1.부정극어의 개념
5.2.부정극어의 분류
5.3.부정극성의 차이
5.4.부정극어와 부정문의 형성조건


본문내용
1.부정과 부정문

1.1. ‘부정’과 ‘부정문’의 의미

부정의 의미는 의미론적으로 긍정문과 모순의 관계를 보이는 의미 작용을 뜻하며, 명제 논리적 입장에서는 문장의 진리치를 바꾸는 기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화용론적 측면에서는 청자의 잘못된 믿음을 수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위의 개념들을 종합해 보면 부정은 단어 차원이 아닌 ‘문장’이나 ‘담화’차원에서 다루어 져야 함을 알 수 있다.

학교문법에서는 부정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어떤 문장에서 그 명제의 진리 조건을 정 반대로 바꾸는 일을 하는 요소를 부정사라 하고 이 부정사가 들어있는 문장을 부정문이라고 한다. 부정사가 들어있지 않은 문장은 긍정문이라고 한다.

학교문법에서는 부정문을 긍정문과 비교하여 보고 있다.

학계에서도 역시 부정문을 긍정문과 대비하여 규정한 논의들이 존재한다.

서정수(1996)
부정문이란 일반적으로 부정 요소가 쓰여서 서술 내용의 전체 또는 일부를 부인하는 문장이다.

참고문헌
고영근·남기심(1995)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구종남(2003) 「국어 부정극어의 유형」, 『국어문학 38』
구종남(2005) 「화용론적 가정과 부정극어」, 2005년 한민족어문학회 전국학술대회
김동식, 「현대 국어 부정법의 연구」, 국어연구 42, 국어연구회, 1980.
김성화, 「‘- 지/다가/고 말-’의 의미 기능」, 국어국문학 10, 147-74, 1989.
김승동, 「현대국어 부정문의 의미해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 1995.
김영만, 「국어의 부정문에 대하여」, 조규설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1982.
김영욱, 「국어 부정문의 유형」, 선청어문 14․15, 서울대 사대 국어과, 1986.
김태엽(2002)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
박정규(1996) 「국어 부정문 연구」, 보고사
박정규(2002), 『국어 부정문의 체계적 연구』, 보고사
박형우(2002) 「부정문의 유형 분류」, 제25회 청람어문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송석중(1967), 「부정의 양상」의 부정적 양상」, 國語学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1990) ,『國語硏究 어디까지 왔나』,東亞出版社
신원재, 「현대국어 부정표현에 관한 연구」, 국어국문학 논문집 27, 서울대 사대 국어과, 1987.
오숙화, 「현대국어 부정문 연구」, 서울대대학원, 1994.
李基用(1979),「두 가지 否定文의 同義性 與否에 대하여」,국어학회, 국어학, 제8집 1979.12, page(s): 59-94
이상복, 「동사 ‘말다’에 대하여」, 연세어문학 12, 연세대 국문과, 1979.
이소영, 「현대국어 부정문의 해석에 대하여」, 숙명여대, 1990.
이은섭, 「현대국어 부정문의 통사구조」, 서울대학, 1996.
임홍빈, 「국어 부정문의 통사와 의미」, 국어연구소, 1987
임홍빈(1987) 「국어 부정문의 통사와 의미」, 『국어생활 10호』
임홍빈(1998), 『국어 문법의 심층』(제3권), 태학사
홍종선(1980), 「國語 否定法의 變遷硏究」, 고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