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

 1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1
 2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2
 3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3
 4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4
 5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5
 6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6
 7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7
 8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8
 9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9
 10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10
 11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11
 12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12
 13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13
 14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14
 15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15
 16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16
 17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17
 18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18
 19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19
 20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공학] 한글맞춤법 사이시옷 표기 알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Analysis

2. Design

3. Development

4. Implement

5. Evaluation
본문내용
1.Analysis
1) 문제 상황에 대한 인식 (교육의 필요성)
◇ 정립되지 않은 사이시옷 표기- 맞춤법 교육을 통한 사이시옷 표기의 이해 필요
근래의 TV 뉴스에서 ‘장맛비가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고 보도 하였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은 ‘장맛비’의 표기가 바른 것인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다음 사례는 포털 사이트에 한 네티즌이 올린 글이다.

“오늘 인터넷 ○○일보에 보니까 포토뉴스에 ‘장맛비로 갈라진 도로’라고 표기되어 있던 데 장마비 아닌가요? ○○일보 같은 신문사에서 맞춤법이 틀릴 리도 없고 아무리 생 각해도 장마비가 맞은 거 같은데···”

사람들이 이러한 의문을 제기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장마 때 내리는 비를 통상 ‘장마비’로 알고 있었으며 신문, 방송에서도 ‘장마비’로 표기하여 방송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신문, 방송에서 사이시옷 표기를 근래에 수정하게 된 것은 사이시옷 규정이 바뀌어서가 아니다. 사실 한글 맞춤법은 1988년 개정된 이후 그대로 적용되어 왔으나 그 보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일반인들은 정확한 맞춤법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인들이 사이시옷의 표기 규칙에 익숙하지 못한 것은 사실 학교 문법 교육에서 원인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교육현장에서 한글 맞춤법 관련 내용은 크게 부각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사이시옷 표기에 관해서는 해당 학습 내용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교과서에 사이시옷 표기에 관한 학습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사이시옷이 표기되는 단어들은 교과서 곳곳에 나타나며 일상생활에서도 사이시옷이 표기되는 단어들은 무수히 쓰이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학교 교육에서 맞춤법 교육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9학년 과정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언급도 없다. 이는 단지 교사의 재량에 따라 부분적은 단편적인 설명만이 보충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학습자의 사이시옷에 대한 이해는 낮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한글 맞춤법 조항도 너무나 많은 예외 규정을 두고 있어 교사는 명확하지 않은 개념으로 가르치고 학습자도 역시 불완전한 문법을 배우고 말게 된다. 또한 사이시옷 교육은 국어학의 연구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나 현재 국어 학계에서도 뚜렷한 대안을 내놓고 있지 못하다.
학교의 맞춤법 교육 중 특히 사이시옷은 위에서 제시한 것처럼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사이시옷의 올바른 사용과 정립을 위해 교육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