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

 1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1
 2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2
 3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3
 4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4
 5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5
 6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6
 7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7
 8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8
 9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9
 10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10
 11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11
 12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12
 13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13
 14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14
 15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15
 16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16
 17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학]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fp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

1. 서론
2. 이황과 이이의 사상적 조류

3. 이황의 경과 이이의 성 사상
1) 이황의 경 사상
2) 이이의 성(誠)사상

4. 이황과 이이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

5. 이황의 이원론과 이이의 이기론

1) 이황의 이원론
(1) 리(理)는 자연히 양을 낳고 음을 낳는다.
(2) 리는 본체적[體], 기능적[用]인 두 가지 양상을 가지고 있다
(3) 리는 추상적인 원리로서 그 자신 운동성과 생성력이 있다.
(4) 리는 기에 내재되어 기의 존재 법칙이 된다.

2) 이이의 이기론(理氣論)
(1) 기는 우주적 실체로서 본래부터 존재한다.
(2) 스스로 작용하는 것은 기 뿐 이다.
(3) 기`의 유위성 즉 능동성, 변화가능성에서 가능하다.
(4) 이와 기는 ‘이기지묘(理氣之妙)’라고 표현하였다
(5) 기 속에는 이가 존재하는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을 제시하였다.
(6) 기와 이는 상호의존적이며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7) 이이의 이기론(理氣論)이 가지는 특색

3) 퇴계 이원론과 이이의 이기론의 비교

6. 이황과 이이의 궁리(窮理)와 거경(居敬)에 대한 견해
1) 궁리
2) 거경
3) 입지(立志)

7. 결 론
본문내용

16세기에 이르러 조선의 성리학은 관념적인 이기론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당시의 철학적 조류는 크게 두 계통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서경덕을 선구자로 하면서 경험적 세계를 중요시하는 주기론이며, 다른 하나는 이언적을 선구자로 하면서 원리적 문제를 중요시하는 주리론 이다. 이 두 학자의 뒤를 이어 조선 성리학을 대성한 사람은 이황과 이이였다.

이황은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을 지어, 주자의 이기 이원론을 더욱 발전시켜 주리 철학을 확립하였다. 그의 사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의 성리학 발전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주리 철학은 대체로 향촌에서 중소 지주적 경제 기반을 가진, 생활이 비교적 안정된 사림들이 발전시켜 나갔다. 이들은 경험적 세계의 현실 문제보다는 도덕적 원리에 대한 인식과 그 실천을 중요시하여, 신분 질서를 유지하는 도덕 규범의 확립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황의 학통은 김성일, 유성룡 등의 제자에 의하여 영남 학파를 형성하였다.
이이는 주기론의 입장에서 관념적 도덕 세계를 중요시하는 동시에, 경험적 현실 세계를 존중하는 새로운 철학 세계를 수립하였다. 그는 주자와 이황의 이기 이원론에 만족하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일원적인 이기 이원론을 주장하였다. 그는 현실 문제의 개혁을 과감히 주장한 경세가이기도 하였다.
조선의 유학이 주자학으로 귀일하고 사상 및 신앙의 통일이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자, 이러한 대세를 타고 주자학을 더욱 이도하여 마침내 조선에서 유학이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도록 한 학자가 바로 이황이다. 그리고 이황에게 학문의 도를 물었으나 그의 학설에 안주하지 않고 이른바 심성론에서 다른 경해를 수립한 학자는 이이이다.

참고문헌
『국역 율곡집 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77, p. 159.
『국역 퇴계집 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77, p. 389-390.
* 율곡의 이기철학 체계에 대한 연구 (김종문, 한국 철학 연구회)* 퇴계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 퇴계 학파와 이 철학의 전개 (서울대학교 출판부)
하고 싶은 말
이황과 율곡의 사상 비교연구가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참고 잘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