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 부조리극

 1  [희곡] 부조리극-1
 2  [희곡] 부조리극-2
 3  [희곡] 부조리극-3
 4  [희곡] 부조리극-4
 5  [희곡] 부조리극-5
 6  [희곡] 부조리극-6
 7  [희곡] 부조리극-7
 8  [희곡] 부조리극-8
 9  [희곡] 부조리극-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희곡] 부조리극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부조리극, 마틴 에슬린, 한길사, 2005
고도를 기다리며, 사뮈엘 베케트, 민음사, 2000
1.부조리란

2.부조리극

3.부조리극의 주제

4.부조리극의 발생 배경

5.실존주의극 VS 부조리극

6.부조리극의 특징

7.부조리극의 목표

8.부조리극의 성쇠

* 참고자료

부조리극-

부조리극-

본문내용
부조리란
인생의 무의미ㆍ무목적ㆍ충동성 등을 총칭한 표현이다.

부조리극
1950년대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전위극(前衛劇)
마틴 에슬린: 통합된 원칙을 잃고 분열된 세계 속에서 느끼는 인간 존재의 우주적 상실감을 표현하고자 하는 연극
세가지 경향:
1. 부조리극의 극작술을 사용하여 작품 내용의 초점을 현대 사회의 구조적 부조리, 정치적 폭력, 보편화된 폭력에 맞추는 경향
2. 1950년대 크게 영향력을 발휘했던 아르토의 잔혹극 이론과 함께 등장하는 제의 연극의 형태-이현화
3. 전통적 글쓰기와 세계 인식을 동시에 전복하고 희극적인 구성에도 인간의 본질과 실존의 문제를 치열하게 추적했던 경향-사무엘 베케트

부조리극의 주제
인간존재의 부조리성에 부딪힌 형이상학적 불안감.

부조리극의 발생 배경
부조리극이 발생하기 전에 성행했던 희곡의 사조는 ‘사실주의’였다. 사실주의의 측면은 두 갈래인데 첫째는 인간의 이성적 능력으로 인류는 신 없이도 과학으로 끊임없이 진보하리라는 생각이고, 둘째는 인간은 유전과 환경의 산물로서 자유의지가 없는 운명의 괴뢰일 뿐이라는 생각이다. 이러한 생각은 양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점점 비관론 쪽으로 흘러가 싸르트르와 까뮈의 실존철학에 다다랐다. 그들에 따르면 인간은 이미 세상에 던져졌고 그 외의 나머지 것들을 자신이 선택해야 하는 ‘자유’라는 고통을 떠안게 되었다. 그러나 인간이 어떠한 선택을 하더라도 신이 퇴장한 우주 안에는 합리적 질서가 없기 때문에, 인간 행동의 도덕적 가치는 어떠한 의미도 부여받을 수 없다. 따라서 인간의 존재는 고통스럽고 부조리하다. 이러한 부조리성을 고발한 극에는 실존주의극과 부조리극이 있다. 이 중 내용 뿐 아니라 형식에도 부조리성을 도입한 파격적인 극이 부조리극이다.

참고문헌
부조리극, 마틴 에슬린, 한길사, 2005
고도를 기다리며, 사뮈엘 베케트, 민음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