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

 1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1
 2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2
 3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3
 4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4
 5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5
 6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6
 7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7
 8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8
 9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9
 10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10
 11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11
 12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12
 13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13
 14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작가론] 일연(一 然) 과 삼국유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연의 생애
2. 시대적 배경
3. 삼국유사와 중편조동오위
4. 일연의 민족의식
5. 일연의 신화/역사의식
6. 일연의 인간관
7. 일연의 문학관

본문내용
1. 일연의 생애
일연은 격동의 한 세기를 관통하여 선사(禪師) 본래 중국에서 천자(天子)가 덕이 높은 승려를 포상할 때 내리던 칭호였으나 선종(禪宗)에서는 승려에 대한 일반적인 경칭으로 사용된다. 706년 신수(神秀)가 처음으로 대통선사(大統禪師)라는 시호를 받았다. 신라 말 민간에서는 덕이 높은 승려나 선대대조사를 부를 때 썼다. 고려 때에는 선종 승려의 법계 중 하나로 사용되었으며 선종의 대선에 합격한 사람이 대덕(大德), 대사(大師), 중대사(重大師)를 거쳐 오를 수 있는 지위였다.
로서의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그의 생애를 전하는 가장 중요한 자료로 경북 군위의 인각사(麟角寺)에 전하는 비문을 들 수 있다. 지금까지 에 대해서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정작 그 저자인 일연에 대한 연구는 자료도 거의 없는데 그의 저서가 거의 전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의 비문에 기록된 바로는 총 백여권에 달하는 책을 저술 혹은 편수했다고 하나 일연의 비문에 어록 2권, 게송잡서(偈頌雜書) 3권, 조동오위(曹洞五位) 2권, 조도(祖圖) 2권, 대장수지록(大藏須知錄) 3권, 제승법수(諸乘法數) 7권, 조정사원(祖庭事苑) 30권, 선문점송사원(禪門拈頌事苑) 30권 등 불교 관련 서적 80여권을 썼다고 비문에 적혀 있으나, 현재 전하는 것은 비문에는 적혀있지 않은 《삼국유사》 뿐이다.
남아있는 것은 《삼국유사》와 최근에 와서야 발견된 《중편 조동오위 重編 曹洞五位》뿐이다. 따라서 그의 생애와 사상적 기반에 대한 검토는 주로 그의 비문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일연은 최충헌이 집권할 때 경주 장산군(章山郡)에서 김언필(金彦弼)의 아들로 태어났다. 일연의 아버지는 벼슬은 하지 않았으나 나중에 일연선사로 인해 좌복사(左僕射)를 추증받았고 어머니는 樂浪郡夫人에 추봉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출신은 지방 향리층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어머니 이씨는 해가 집안에 들어와 배를 비추는 꿈을 꾸고서 일연을 임신했다고 한다.
그는 어려서부터 행동거지가 단엄하였는데, 소걸음에 호랑이눈이었다고 한다. 그의 본명은 견명(見明)이며 자는 회연(晦然)이었으나 후에 일연으로 고쳤다.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어머니와 살았는데, 아홉 살에 해양(海陽), 지금의 광주 무량사로 가서 의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