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

 1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1
 2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2
 3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3
 4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4
 5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5
 6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6
 7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7
 8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8
 9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9
 10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10
 11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11
 12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12
 13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13
 14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14
 15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15
 16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제 3장 퇴폐의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 《창조》문학
1. 문예지와 순문학운동


2. 근대적 문학운동의 문단적 의미


3. 창조파의 문장 혁신운동


4. 3 ․ 1운동의 영향


5. 문예사조의 혼란


6. 자연의 예찬


7. 주요한의 신시



제 3장 퇴폐의 문학
1. 퇴폐환경과 문학


2. 외래의 데카당 사상


3. 러시아 근대작가의 영향


4. 현실과 도피


5. ≪폐허≫의 주변


6. 그 뒤의 퇴폐문학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2장 근대문예사조의 등장 - 소장파가 일으킨《창조》문학


1. 문예지와 순문학운동

신문학사 위에 언제부터 근대 문예사조가 등장했는지 물으면 그것이 좀 더 뚜렷한 모양으로서 사조적인 주류가 된 것은 1920년대라고 할 것이지만, 그것이 처음 선을 보이면서 등장한 것은 그것에 앞서서 1919년대의《창조》 1920년대 종합 문예 동인지. 1919년 2월 1일 일본 유학생이었던 김동인(金東仁)ㆍ주요한(朱耀翰)ㆍ전영택(田榮澤)이 도쿄에서 발행하였다. 창간호는 국판 81쪽. 창간호에는 주요한 시 , 김동인의 소설 《약한 자의 슬픔》, 전영택의 소설《혜선의 사》등이 실려있다. 창간호의 동인은 김동인ㆍ주요한ㆍ전영택ㆍ김환(金煥)ㆍ최승만(崔承萬)이다.(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p.939.)
지의 동인시대라고 지적할 수 있다.
앞에 온 최남선이나 이광수의 기성문학에 대하여 반기를 들어, 극히 소박하나마 일종의 리얼리즘 같은 근대 문예사조나 그 작품수법을 의식하게 되었다. 실지로 그 뒤에 온 자연주의적인 리얼리즘은 이 창조파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0년대의 우리 시단의 주조를 이룬 상징주의도 이《창조》지에서 싹트고 있었다고 볼 때 1919년의《창조》지의 등장은 우리 근대적인 신문학운동의 위치로서 크게 보아야 할 뜻이 걸려 있는 것이다. 창조파는 우리 신문학운동의 제1기인 최남선ㆍ이광수 시대를 뒤이어 제2기로 들어선 것이며, 여기서 처음으로 근대문학사조를 받아들여 더 근대적인 신문학운동의 출발을 하게 된 것이다.
1919년 2월에 필자와 요한과 늘봄, 그 밖에 수인의 손으로 《창조》창간호가 발간되었다. 이인직의 시대를 지나서 춘원의 독무대시대까지 일인 즉 전문단이던 것은 이 《창조》의 문예운동으로 처음 깨어졌다. 이 《창조》가 순전한 문예잡지의 효시인 동시에 구체적 문예운동의 시초다. 그때에 조금 눈이 뜬 우리들은 춘원의 작품이며 사상에 많은 불만과 부족함을 가졌다…… 그 불만과 부족감은 춘원의 작품의 주조가 너무 소국부적 문제로 그 작품이 너무 감상적이며, 그의 작품의 영향이 너무 데카당스적 풍조를 청년사회에 흘렸으며, 그의 작품 그것이 당시의 소설작가지원 청년들에게 소설에 대한 그릇된 관념을 줌에 대하여서다.
- 김동인의 《조선근대소설고》

전시대의 신문학운동은 그 동기를 더 외부정세에 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최남선과 이광수의 문학은 정치의식을 계몽하기 위한 목적의식이 앞서서 문학을 하였다. 정치의식을 계몽하고 높여가는 데 문학이 가장 적의하고 효과적인 방편이라는 것, 그것도 과거의 고대문학이나 신소설의 양식이 아니고 근대 구미문학을 본받아 신문장운동에 의한 신문학이 그 새 시대를 위한 선전사명을 감당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는 자신하에서 감행된 문학운동이었다.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권영민,『한국현대문학사1』, 민음사, 2003.
김동인, 『동인전집8』, 홍자출판사, 1964.
김윤식 외,『우리문학 100년』, 현암사, 2001.
김재용 외,『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4.
백철, 『신문학사조사』 , 신구문화사, 1989.
안숙현, 「한국 근대극에 미친 러시아문학과 연극의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 대학원,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