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원순모음화의 통시적 고찰

 1  비원순모음화의 통시적 고찰-1
 2  비원순모음화의 통시적 고찰-2
 3  비원순모음화의 통시적 고찰-3
 4  비원순모음화의 통시적 고찰-4
 5  비원순모음화의 통시적 고찰-5
 6  비원순모음화의 통시적 고찰-6
 7  비원순모음화의 통시적 고찰-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비원순모음화의 통시적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2) 원순모음에 의한 비원순모음화
㈀ 고모음에서의 비원순모음화
※ 이화주가 애매한 경우
㈁. 중모음에서의 비원순모음화
본문내용
(2) 원순모음에 의한 비원순모음화

- 원순모음에 의한 비원순모음화의 개념
원순모음에 의한 비원순모음화는 원순모음에 의하여 원순모음이 비원순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정확히 말하면 원순모음의 원순성 자질로 인해 주변에 존재하는 원순모음이 비원순모음으로 변하는 현상인 것이다. 앞서의 순자음에 의한 비원순모음화와 비교해봤을 때, 피이화음이 모음이라는 점, 원순모음에서 비원순모음으로 바뀌는 이화작용이라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이화주가 순자음이 아닌 원순모음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화’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음운이 이어질 때 그 중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이라는 것에 입각하여 논의를 진행시키고자 한다. 일부 논문에서 까마귀>까마기, 갈퀴>갈키 의 사례를 통시적인 비원순모음화로 처리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음운 즉 이화의 원인인 이화주로서 원순모음이 존재하는 경우의 사례로만 국한시켜서 살펴볼 것이다.

- 이화주로서의 원순모음
원순모음에 의한 비원순모음화에서 이화주는 원순성을 가진 모음이다. 중세국어에서 원순성을 지닌 모음으로는, 단모음 ㅜ와 ㅗ, 이중모음 ㅟ 와 ㅚ 가 있어 총 4개라 할 수 있다. 오광근(2005)에서는 후기 중세국어의 해례 중성해의 기술에서 ‘ㅟ’나 ‘ㅚ’는 주모음인 ‘ㅜ’와 ‘ㅗ’에 각각 부모음인 ‘ㅣ’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합자로써 하향이중모음 부모음이 주모음 뒤에 있으므로 상향이중모음이 아닌, 하향이중모음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라는 근거를 들면서, 이화주가 표면적으로 ㅜ ㅗ ㅟ ㅚ 등 4개이지만 실제적으로 ㅜ 와 ㅗ 2개라고 보고 있다.

- 원순모음화와 비원순모음화의 순환적인 구조에 대한 이해
(예1) 그울다 > 구울다 > 구을다 (구르다)
① 大衆히   해 업더디여 그울며 우니
② 옮교미 외야 邪道의 더레요 수이 맛나 구우녀 러디니
③ 一二百 버늘 구으리면 므리 나면 절로 사니라


석보상절의 어형과 능엄경언해의 어형을 비교해보면, 어두음절에서 후행하는 제2음절의 원순모음 ㅜ에 의해 1음절의 ㅡ가 ㅜ로 바뀐 원순모음화가 나타났음을 파악해볼 수 있다. (①→② 원순모음에 의한 역행원순모음화 : ㅡ>ㅜ) 그런데 능엄경언해에서 구급방언해로 넘어오면, 원순모음화된 제1음절의 ㅜ 모음의 영향으로 제2음절이 비원순화되어 ㅜ가 ㅡ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②→③ 원순모음에 의한 순행비원순모음화 : ㅜ>ㅡ) 이와 동일한 예로 현대어에서 관청을 의미하는 ‘그위’형에서 ‘구위, 구의’형으로의 변모 과정을 들 수 있다.
(예2) 그위 > 구위> 구의 (관청)
① 官屬 그위예 좃브튼 사미라
② 구윗  구위예 도로 보내요로브터 녀 길히 녀미 어려
③ 반나마 賦稅 이긔디 몯다 구의예 오미 쉰 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