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

 1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1
 2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2
 3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3
 4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4
 5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5
 6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6
 7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7
 8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8
 9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9
 10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10
 11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11
 12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12
 13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13
 14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14
 15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15
 16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16
 17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17
 18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18
 19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19
 20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방언학]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경상북도 역사 문화 지리적
배경 개관

Ⅱ. 본론
1. 음운체계
2. 운소체계
3. 음운변동
4. 어미체계
5. 기타 경북방언의 특징
6. 어휘상의 특징

Ⅲ. 결론
본문내용
Ⅱ. 본론
1. 음운체계
(1)모음체계
경북방언의 단모음체계는 6개 모음체계(i, E, ∃, u, o, a)이며, 상관대립체계는 조음위치에 따라 [전]:[후] 대립체계로, 구개도에 따라 [고]:[저] 대립체계, 원순성 유무에 따라 [원순성],[비원순성]의 대립체계를 보이고 있다.
현대의 경북방언에는 ꡐ애ꡑ와 ꡐ에ꡑ와 'ꡐ으ꡑ와 ꡐ어ꡑ가 비변별적인 지역이 많은데 18세기 후기에 이미 /에/:/애/의 중화가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20세기 초의 영남문헌에 /에/:/애/의 혼기가 극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19세기 어느 시점에서 중화가 완성되었다고 생각된다. /에/:/애/ 그리고 /으/:/어/간의 변별이 상실됨으로써 경상방언의 자음체계는 다른 방언권 과 구별되는, 곧 한국의 방언 가운데 가장 적은 수의 모음을 가진 6모음체계로 정착된 것이다. 이중모음은/yE, y∃, yu, yo, ya/와 wi/wE, w∃,wa/와 같이 9개가 있는데 자음 아래에서는 모두 단모음으로 실현되며 자음 아래에서 이중모음이 실현되지 않는 것이 이 방언의 특징이다. 또 음절경계에서는 선행음절의 말음이 ‘l,m,n,ŋ’인 경우 그 다음에 오는 이중모음과 연음되지 않으며 ’l,n,k,p,t,h' 등 자음 뒤에 이중모음 ‘ye, yε, wa’ 등이 결합할 때 이 모음들을 단모음 ‘E, ∃, a'로 각각 발음된다.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시기는 선행자음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참고문헌
방언연구회. {方言學 事典}. 태학사, 2001
최명옥. {한국어 方言 硏究의 실체}. 태학사, 1998
간행위원회. {청암 김영태 박사 환갑기념 논문집}. 태학사, 1998
이상규. {경북방언사전}. 태학사, 2000
이병근,박충구. {방언} 태학사
정철. {경북 중부지역어 연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이상규,백두현외 {내일을 위한 방언연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이상규. {경북방언 문법연구}. 1999
김덕호. {경북방언의 지리락}. 월인, 2001
김태엽. {경북말의 높임법 연구}. 태학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