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 떡살(떡본), 떡의 유래, 떡의 어원, 떡의 종류, 떡 만드는 방법, 생활속의 떡, 떡의 영양과 성분에 관한 분석

 1  [떡] 떡살(떡본), 떡의 유래, 떡의 어원, 떡의 종류, 떡 만드는 방법, 생활속의 떡, 떡의 영양과 성분에 관한 분석-1
 2  [떡] 떡살(떡본), 떡의 유래, 떡의 어원, 떡의 종류, 떡 만드는 방법, 생활속의 떡, 떡의 영양과 성분에 관한 분석-2
 3  [떡] 떡살(떡본), 떡의 유래, 떡의 어원, 떡의 종류, 떡 만드는 방법, 생활속의 떡, 떡의 영양과 성분에 관한 분석-3
 4  [떡] 떡살(떡본), 떡의 유래, 떡의 어원, 떡의 종류, 떡 만드는 방법, 생활속의 떡, 떡의 영양과 성분에 관한 분석-4
 5  [떡] 떡살(떡본), 떡의 유래, 떡의 어원, 떡의 종류, 떡 만드는 방법, 생활속의 떡, 떡의 영양과 성분에 관한 분석-5
 6  [떡] 떡살(떡본), 떡의 유래, 떡의 어원, 떡의 종류, 떡 만드는 방법, 생활속의 떡, 떡의 영양과 성분에 관한 분석-6
 7  [떡] 떡살(떡본), 떡의 유래, 떡의 어원, 떡의 종류, 떡 만드는 방법, 생활속의 떡, 떡의 영양과 성분에 관한 분석-7
 8  [떡] 떡살(떡본), 떡의 유래, 떡의 어원, 떡의 종류, 떡 만드는 방법, 생활속의 떡, 떡의 영양과 성분에 관한 분석-8
 9  [떡] 떡살(떡본), 떡의 유래, 떡의 어원, 떡의 종류, 떡 만드는 방법, 생활속의 떡, 떡의 영양과 성분에 관한 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떡] 떡살(떡본), 떡의 유래, 떡의 어원, 떡의 종류, 떡 만드는 방법, 생활속의 떡, 떡의 영양과 성분에 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떡살(떡본)

Ⅱ. 떡의 유래

Ⅲ. 떡의 어원
1. 떡이란 말의 어원
2. 떡의 뜻과 분화

Ⅳ. 떡의 종류
1. 송편
2. 증편
3. 약식
4. 인절미
5. 찌는떡
6. 치는떡
7. 지지는떡
8. 삶는떡
9. 한과
10. 음청류

Ⅴ. 떡 만드는 방법
1. 콩찰떡
1) 재료
2) 만드는 법
2. 증편
1) 재료
2) 만드는 법

Ⅵ. 생활속의 떡
1. 정을 나누는 떡
2. 재료 배합에서 합리적인 떡
3. 약이 되는 떡

Ⅶ. 떡의 영양과 성분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떡살(떡본)
떡본 또는 떡손·병형(餠型)이라고도 한다. 고려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떡살은 누르는 면에 음각 혹은 양각의 문양이 있어서 절편에 찍으면 문양이 아름답게 남는다. 사용하는 방법은 적절한 크기로 잘라낸 떡에 물기를 묻혀서 떡살로 도장을 찍듯이 누르면 된다. 이렇게 찍은 떡은 어느 정도 굳으면 그 문양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떡살은 재질에 따라 나무떡살과 자기떡살로 나눌 수 있다. 단단한 소나무·참나무·감나무·박달나무 등으로 만드는 나무떡살은 1자 정도의 긴 나무에 4˜6개의 각기 다른 무늬를 새긴 것이다. 사기·백자·오지 같은 것 등으로 만드는 자기떡살은 대개 보통 5˜11㎝ 정도의 둥근 도장 모양으로, 손잡이가 달려 있어서 잡고 꼭 누르게 되어 있다. 특히 궁중에서 쓰던 사기떡살은 고급스러운 백자(白磁)로 만든 것이 많다. 떡 의 문양은 주로 부귀(富貴)와 수복(壽福)을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는 길상(吉祥)무늬를 비롯하여 장수와 해로를 뜻하는 십장생(十長生)·봉황·국수무늬, 잉어·벌·나비·새·박쥐 등의 동물무늬와 태극무늬, 빗살 등의 기하학적 무늬, 만(卍)자 등의 불교적인 무늬와 꽃· 수레바퀴무늬 등 아주 다양하다. 특히 떡살의 문양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어서 좋은 일, 궂은 일, 돌, 회갑 등 용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했다. 단옷날의 수리치절편에는 수레무늬, 잔치떡에는 꽃무늬, 사돈이나 친지에게 보내는 떡에는 길상무늬를 찍었다. 특히 선물용으로 보내는 떡은 그 문양에 따라 보내는 사람의 마음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떡살의 무늬는 일반적으로 가문에 따라 독특한 문양이 정해져 있었다. 그 문양은 좀처럼 바꾸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다른 집안에 빌려 주지도 않았다. 부득이하게 떡살의 문양을 바꾸어야 할 때에는 문중의 승낙을 받아야 할 만큼 집안의 상징적인 무늬로 통용되었다.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는 말이 있듯, 우리네는 한번 먹고 나면 없어져 버릴 떡 하나라도 보는 즐거움으로 구미를 돋구었다. 생활의 사소한 것 하나에도 의미를 부여하고 치장하기를 즐기던 우리 문화의 상징성을 보여주는 떡살은, 선조들의 격조 있던 음식문화를 대변하고 있다.
참고문헌
* 강인희,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 1987
* 김길소, 떡문양사진 : 떡에 얽힌 문양의 신비
* 김민자, 순천향대 대학원, 2001
* 문정원, 떡개발과 상품화에 대한 연구, 부산여자대학교 논문집 20호, 1999
* 신승미, 우리 고유의 상차림, 교문사, 2005
* 정효선,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 한국 전통의 떡류와 한과류의 인지도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음식의 관광상품화에 관한 연구-한국전통 떡류를 중심으로, 2002
* 진희정·이효지·한영실·한국전통음식, 2000
* 한국의 떡문화 형성기원과 발달과정에 관한 소고, 한국 식생활에서의 쌀문화, 한국식문화협회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