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섬유, 광통신] 광섬유의 개념, 광섬유의 기본구조, 광섬유의 제조과정, 광섬유의 장단점, 광섬유와 광통신에 관한 분석

 1  [광섬유, 광통신] 광섬유의 개념, 광섬유의 기본구조, 광섬유의 제조과정, 광섬유의 장단점, 광섬유와 광통신에 관한 분석-1
 2  [광섬유, 광통신] 광섬유의 개념, 광섬유의 기본구조, 광섬유의 제조과정, 광섬유의 장단점, 광섬유와 광통신에 관한 분석-2
 3  [광섬유, 광통신] 광섬유의 개념, 광섬유의 기본구조, 광섬유의 제조과정, 광섬유의 장단점, 광섬유와 광통신에 관한 분석-3
 4  [광섬유, 광통신] 광섬유의 개념, 광섬유의 기본구조, 광섬유의 제조과정, 광섬유의 장단점, 광섬유와 광통신에 관한 분석-4
 5  [광섬유, 광통신] 광섬유의 개념, 광섬유의 기본구조, 광섬유의 제조과정, 광섬유의 장단점, 광섬유와 광통신에 관한 분석-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광섬유, 광통신] 광섬유의 개념, 광섬유의 기본구조, 광섬유의 제조과정, 광섬유의 장단점, 광섬유와 광통신에 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광섬유의 개념

Ⅲ. 광섬유의 기본구조

Ⅳ. 광섬유의 제조과정
1. 모재의 제작
2. 연선(延線)과정

Ⅴ. 광섬유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Ⅵ. 광섬유와 광통신

참고문헌
본문내용
19세기에 J.틴들이 자유낙하하는 물줄기 속에서 빛이 빠져나가지 않고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는데, 이것이 광섬유에 대한 원리가 공식적으로 발표된 최초이다. 그 후 20세기 초반에 이르러 유리로 된 광섬유가 나타났지만, 그 당시의 광섬유는 손실이 무려 1,000dB/km에 달하였으므로, 장거리용으로 사용하기는 불가능했다. 다만 짧은 길이의 광섬유 다발로 만들어, 그것의 한쪽 끝에 맺힌 영상(映像)을 다른 쪽 끝으로 전달시키는 용도에만 쓰이고 있었다. 1966년 영국스탠더드통신연구소의 K.C.카오와 호크햄(Hockham)이 유리의 손실을 20dB/km까지 줄일 수 있다는 주장과 함께 이러한 유리로 만든 광섬유는 빛을 이용한 원거리통신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이 때부터 미국·영국·일본 등 각국의 연구그룹들이 저손실(低損失) 광유리섬유의 개발을 서두른 결과, 1970년에 미국 코닝 유리회사의 R.D.마우러가 20dB/km의 손실을 갖는 광섬유를 발표하고, 뒤이어 5dB/km의 저손실을 이룩하였다. 그 뒤를 이어 미국 벨연구소의 MCVD(modifie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한 고순도 석영 광섬유가 개발되고, 영국 체신청의 광섬유와 일본 판 유리회사와 NEC 공동의 셀폭(Selfoc) 광섬유 등이 나타나서 실용화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 말에는 광섬유의 손실이 최저 0.2dB/km까지 줄게 되었는데, 이것은 깊이 100km의 바다 속에 있는 물체를 수면에서 구별할 수 있는 투명도이다. 한국의 광섬유 개발은 1978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최상삼·김기순 박사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시작된 이후, 저손실 광섬유의 개발 연구가 진행되어, 1981년 MCVD법을 사용하여 최소 1dB/km의 손실을 가진 광섬유를 국내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참고문헌
오신부 : 광통신 하이테크 정보
한국통신학회 정보통신기술 총서1 : 초고속 광통신 기술, 한국통신학회 홍릉과학출판사
2000 신기술동향조사 보고서 : 광통신용 고분자소재, 특허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