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

 1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1
 2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2
 3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3
 4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4
 5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5
 6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6
 7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7
 8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8
 9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9
 10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10
 11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11
 12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문제제기와 연구방향 제시
2. ‘가족’과 ‘이데올로기’의 개념 정의

Ⅱ. 본 론

1. 가족의 변화
2. 동서양의 가족
3. 가족이데올로기
4. 가족이데올로기의 고찰
5. 문학과 가족이데올로기

Ⅲ. 결 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1. 문제제기와 연구방향 제시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모습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현대인의 생활의 거점 역시 집(家)이고, 그 집 안에는 가족이라는 공동체가 모여 생활한다. 집을 거점으로 하고 가족을 사회를 구성하는 공동체 구성의 기본단위로 하는 것은 앞으로도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여기에서 상정되는 가족의 개념 자체는 변화해갈 것으로 예상되고, 이미 과거의 가족의 개념에서부터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기존에 ‘정상가족 정상가족(the normal family)이란 도덕적으로 가장 바람직하고 사회적으로 가장 표준화되어 있다고 인정되는 특정 유형의 가족생활 모델을 일컫는 것으로, 구조기능주의자들이 핵가족을 중심으로 한 가족생활 모델을 정상가족이라고 부르기 시작하면서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개념이다. Cheal, David. 1991. Family and The State of Theory. 최연실·유계숙 역(1999). 『가족학이론의 현황과 쟁점 : 근대성 논의를 중심으로』. 157-163. 하우.
’이라고 정의되었던 개념의 외연을 벗어나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이 형성되는 것을 가족문제 또는 가족해체현상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밖에도 실제 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가족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황혼이혼의 증가를 비롯한 전체적인 이혼율의 증가와 출산율의 감소, 동성가족의 등장, 불륜의 성행 등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실이 문학 작품에서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는 앞에서 언급한 제(諸)문제들을 소재로 하는 문학 - 특히 소설 내지는 희곡 - 들이 성행하고 있다. 사실 문학에서 가족이라는 소재를 정면으로 다룰 때, 지극히 정상적이고 평범한 가족의 삶이 이야기된다면 그건 이미 그 작품에서 가족은 작가가 가족이데올로기에 관해서 문제 삼고자 전면에 내세워진 소재가 아니라, 가족이 소설의 배경 정도의 의미밖에 가질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여러 작품에서 이런 ‘문제적 가족’을 소재로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한다. 하지만 분명히 문학은 현실 세계를 일정부분 반영하고 재현하게 마련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적 상황을 가만히 흘려보낼 수는 없으며, 그렇기 때문에 여기에서 문학에 나타나는 가족문제들과 배후의 가족이데올로기에 대한 우리의 연구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러한 현실세계의 반영은 비단 문학에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다. 여러 매체를 통하여 접할 수 있는 영화와 드라마 같은 우리 대중문화 코드 전반에 걸쳐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번 논문에서는 특히 문학에 초점을 맞추어 문학에 나타난 가족이데올로기에 대해서 과거에는 가족의 개념이 어떠하였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가족이데올로기가 무엇을 배경으로 하여 성립하였는지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가족이데올로기가 우리 문학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반영되어 나타나는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그리고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가족의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앞으로 문학에서 가족이데올로기가 어떤 방향으로 논의되어갈 것인지에 대해 예상해보는 것으로 논문을 마무리 짓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가족이데올로기에 대한 개념 정의가 필요한데, 구체적인 논의는 본론에서 하도록 하고 그 이전에 이 단어를 이루는 ‘가족’과 ‘이데올로기’에 대해서 각각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겠다.


2. ‘가족’과 ‘이데올로기’의 개념 정의

가족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우선 가족과 이데올로기 각각의 개념에 대해서 정의를 해보고자 한다. 각각의 개념을 정의한 후에 이를 통해서 이 두 단어가 합쳐지면 어떤 의미를 갖게 될 지 생각해 본다. 일단 사전적 정의를 찾아보았다.
가족 : 부부를 중핵으로 그 근친인 혈연자가 주거를 같이하는 생활공동체.
이데올로기 : 인간 ·자연 ·사회에 대해 품는 현실적이며 이념적인 의식의 재 형태.
‘관념형태’ 또는 ‘의식형태’로 번역되기도 한다. 두산 세계대백과사전.


가족의 개념에 대해서 레비-스트로스는 이렇게 정의 내렸다. 가족은
참고문헌
1. 최연실, 유계숙 역,『가족학이론의 현황과 쟁점 : 근대성 논의를 중심으로』, 하우, 1999.
2. 조정문, 장상희, 『가족사회학』, 서울: 아카넷, 2001.
3. 한상진 외 역, 『현대 사회 이론과 이데올로기』, 한울, 1984.
4. 안병철, 『사회변동과 가족』, 서울: 미래인력연구센터, 1997.
5. 한경구 외,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서울: 일조각, 2003.
6. 박호강 외, 『현대사회의 성․결혼․가족』, 경산: 대구대학교출판부, 1999.
7. 안호용, 김흥주, 배선희 역, 『가족은 없다 - 가족이데올로기의 해부』, 서울: 일신사, 1997.
8. 이여봉, 『탈근대의 가족들 - 다양성, 아픔, 그리고 희망』, 파주: 양서원, 2006.
9. 권명아, 『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서울: 책세상,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