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의 이해]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

 1  [국어문법의 이해]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1
 2  [국어문법의 이해]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2
 3  [국어문법의 이해]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3
 4  [국어문법의 이해]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문법의 이해]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VP의 내부 구조와 기본 문형
3. 명사구(NP)인가 후치사구(PP)인가?
4. 부정문의 구절 구조
4.1. 동사 수식 부사 '아니'
4.2. '-지 아니 하-'의 통사 구조
5. 선문말 형태의 통사적 자격 : IP의 구조
6. 문말 형태의 통사적 자격 : CP의 구조
7. 내포절과 접속절의 구조
7.1. 명사구 내포화(명사구 보문과 관계절)
7.2. 동사구 내포화(동사구 보문과 부사절)
7.3. 접속문의 절 구조
본문내용
한국어의 구절 구조를 살펴보고 그 구조가 엑스-바 이론이라고 불리는 머리어 투사 원리에 의하여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논의에 앞서 술어상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데, 변형문법에서 주어나 목적어라는 문장 성분의 자격은 NP들이 문장 구조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기 때문에 NP는 명사구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VP도 동사구이지 서술어구라는 의미를 가질 수는 없다. 따라서 동사구, 형용사구, 계사구가 서술어구가 된다고 말해야 함이 옳다. 따라서 VP라는 술어는 넓은 의미로 이 셋을 포괄하는 서술어구를 뜻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