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교육] 통일교육의 당위성, 필요성, 성격, 목표와 통일교육의 실태, 통일교육의 방향 및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그리고 통일교육의 평가 심층 분석

 1  [통일교육] 통일교육의 당위성, 필요성, 성격, 목표와 통일교육의 실태, 통일교육의 방향 및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그리고 통일교육의 평가 심층 분석-1
 2  [통일교육] 통일교육의 당위성, 필요성, 성격, 목표와 통일교육의 실태, 통일교육의 방향 및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그리고 통일교육의 평가 심층 분석-2
 3  [통일교육] 통일교육의 당위성, 필요성, 성격, 목표와 통일교육의 실태, 통일교육의 방향 및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그리고 통일교육의 평가 심층 분석-3
 4  [통일교육] 통일교육의 당위성, 필요성, 성격, 목표와 통일교육의 실태, 통일교육의 방향 및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그리고 통일교육의 평가 심층 분석-4
 5  [통일교육] 통일교육의 당위성, 필요성, 성격, 목표와 통일교육의 실태, 통일교육의 방향 및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그리고 통일교육의 평가 심층 분석-5
 6  [통일교육] 통일교육의 당위성, 필요성, 성격, 목표와 통일교육의 실태, 통일교육의 방향 및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그리고 통일교육의 평가 심층 분석-6
 7  [통일교육] 통일교육의 당위성, 필요성, 성격, 목표와 통일교육의 실태, 통일교육의 방향 및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그리고 통일교육의 평가 심층 분석-7
 8  [통일교육] 통일교육의 당위성, 필요성, 성격, 목표와 통일교육의 실태, 통일교육의 방향 및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그리고 통일교육의 평가 심층 분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일교육] 통일교육의 당위성, 필요성, 성격, 목표와 통일교육의 실태, 통일교육의 방향 및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그리고 통일교육의 평가 심층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통일교육의 당위성

Ⅲ. 통일교육의 필요성과 성격

Ⅳ. 통일교육의 목표

Ⅴ. 통일교육의 실태
1. 통일교육의 내용적 요인
2. 통일교육의 교수 학습방법 요인

Ⅵ. 통일교육의 방향

Ⅶ.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Ⅷ. 통일교육의 평가
1. 통일교육 평가의 특징
2. 통일교육 평가의 방법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남북통일이 되더라도 우리나라가 결코 양보할 수 없는 지향점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자유민주주의 체제와 시장경제 체제 유지가 바로 그것이다. 통일이라는 대의를 위해서라면 이것마저도 양보할 수 있지 않겠는냐고 주장한다면 그야말로 언어도단이다. 남북정상회담은 냉전의식에 젖어 있던 우리 국민에게 냉전적 사고에서 벗어나게 하는 계기가 됐다. 그러면서도 갑작스런 변화에 혼란을 겪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것은 과거 언론보도와 정부의 홍보효과가 상승작용을 일으킨 결과다. 그동안 「남북전쟁과 분단」을 가르치는 교육현장에서도 혼선을 빚어 왔다. 우리의 학교 교육은 그동안 멸공과 승공-반공-통일안보-민족 화해·협력과 동질성 회복으로 남북문제에 대한 교육의 강조점이 변화돼 왔다. 이러다 보니 가르치는 사람들 사이에도 세대간의 인식차가 생겼다. 이는 북한에 대한 정보부재 뿐 아니라 정부의 냉전적 교육지침에도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정상회담에서 두 지도자가 과거처럼 전쟁통일도, 흡수통일도 아닌 평화공존의 원칙에 따라 협상통일을 한다는 원칙을 확인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한쪽이 승리하는 체제비교나 이념의 우위성 교육은 지양해야 한다고 본다. 북한 이해교육이라는 차원에서 북한의 인문지리, 주민의 문화적 정서와 생활상과 같은 구체적인 내용을 알려주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남북이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경제 형편이 나은 남한사람이 북한사람을 돕는 것은 인지상정임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경제원조나 대북경제건설 등의 거대 담론보다는 북한에서 생산한 값싼 물건 하나라도 팔아주는 것이 북한 사람을 돕는 동시에 남북통일에도 기여하는 일이라는 점을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금강산을 방문하면서도 살만한 물건이 없다며 북한산 물품을 하나도 구입하지 않는 것은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북한사회 이해교육」 내용은 좋은 착상으로 평가된다. 탈북자가 본 남북사회비교는 훌륭한 교재라고 생각한다. 분단에 따른 차이점을 아는 것은 북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와는 달리 남과 북에 남아 있는 전근대적 전통과 정서에 있어서 많은 공통점이 있다. 북한 어린이들도 우리 어린이들처럼 컴퓨터 게임을 할 줄도 안다.
참고문헌
고정식 외 6명(2004), 통일지향 교육 패러다임 정립과 추진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이광호(1999),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도덕과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통일문제연구
이서행(1995), 통일교육 내용의 재정립 방향, 통일, 통권 160호
이순교(1995), 학교통일교육 실태 및 교사의 대북한 인식 분석 : 도덕·국민윤리교과와 담당교사를 중심으로, 서울: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추병완 외(2000), 통일교육론, 서울, 백의
통일부(2000), 2001년도 통일교육지침서, 서울: 통일부
한국교육개발원(1999), 학교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