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제사준비, 축문, 신위, 지방, 지방의 작성법]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축문(祝文), 신위(神位), 지방(紙榜), 지방(紙榜)의 내용과 작성법에 관한 심층 분석

 1  [기제사준비, 축문, 신위, 지방, 지방의 작성법]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축문(祝文), 신위(神位), 지방(紙榜), 지방(紙榜)의 내용과 작성법에 관한 심층 분석-1
 2  [기제사준비, 축문, 신위, 지방, 지방의 작성법]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축문(祝文), 신위(神位), 지방(紙榜), 지방(紙榜)의 내용과 작성법에 관한 심층 분석-2
 3  [기제사준비, 축문, 신위, 지방, 지방의 작성법]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축문(祝文), 신위(神位), 지방(紙榜), 지방(紙榜)의 내용과 작성법에 관한 심층 분석-3
 4  [기제사준비, 축문, 신위, 지방, 지방의 작성법]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축문(祝文), 신위(神位), 지방(紙榜), 지방(紙榜)의 내용과 작성법에 관한 심층 분석-4
 5  [기제사준비, 축문, 신위, 지방, 지방의 작성법]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축문(祝文), 신위(神位), 지방(紙榜), 지방(紙榜)의 내용과 작성법에 관한 심층 분석-5
 6  [기제사준비, 축문, 신위, 지방, 지방의 작성법]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축문(祝文), 신위(神位), 지방(紙榜), 지방(紙榜)의 내용과 작성법에 관한 심층 분석-6
 7  [기제사준비, 축문, 신위, 지방, 지방의 작성법]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축문(祝文), 신위(神位), 지방(紙榜), 지방(紙榜)의 내용과 작성법에 관한 심층 분석-7
 8  [기제사준비, 축문, 신위, 지방, 지방의 작성법]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축문(祝文), 신위(神位), 지방(紙榜), 지방(紙榜)의 내용과 작성법에 관한 심층 분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제사준비, 축문, 신위, 지방, 지방의 작성법]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축문(祝文), 신위(神位), 지방(紙榜), 지방(紙榜)의 내용과 작성법에 관한 심층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1. 수축, 지방, 점촉(修祝, 紙榜, 点燭)〔이서위상, 천원지방 (以西爲上, 天圓地方)〕
2. 설위(設位)
3. 진설(陳設)
4. 강신례(降神禮)
5. 참신례(參神禮) : ꡒ일동재배(一同再拜)ꡓ
6. 초헌례(初獻禮) : 좨주(祭酒), 육적(肉炙), 계반개(啓飯蓋)
7. 독축(讀祝) : 모두꾸러앉아, 묵념, 초헌관재배(初獻官再拜), 퇴주(退酒), 퇴적(退炙)
8. 아헌례(亞獻禮) : 좨주(祭酒), 어적(魚炙), 아헌관재배(亞獻官再拜), 퇴주(退酒), 퇴적退炙
9. 종헌례(終獻禮) : 좨주(祭酒), 계적(鷄炙), 종헌관재배(終獻官 再拜)
10. 유식례(侑食禮) : 첨작(添酌), 삽시정저(揷匙正箸)
11. 합문례(闔門禮)
12. 계문(啓門)
13. 진숙수(進熟水)
14. 낙시저(落匙箸), 합반개(闔飯蓋)
15. 사신례(辭神禮) : 분축(焚祝), 철찬(撤饌), 음복(飮福)
16. 파제(罷祭)

Ⅱ. 축문(祝文)
1. 기제축(忌祭祝) 예문
2. 해설

Ⅲ. 신위(神位)

Ⅳ. 지방(紙榜)

Ⅴ. 지방(紙榜)의 내용과 작성법
1. 남자조상
2. 여자조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기제사 전날 아침 일찍부터 집의 안팎을 깨끗이 쓸며 닦고, 안에서는 제찬(祭饌)을 작만하고 밖에서는 제구(祭具)를 갖추고 당안을 청결히 청소하고 제주이하 여러 자손들이 각기 목욕하고 제복을 입고 축문과 지방을 써놓고 당에 들어가 자리를 펴고 젯상을 놓고 기제사 준비를 한다. 보통은 제사 전날을 제삿날이라고 하는바 이유는 제사 전날에, 제사준비를 하고 밤 23시부터 제삿날 01시까지를 자시(子時)가 되기 때문에 제사 전날을 제삿날이라 칭하나 원칙은 자시(子時)를 지나 제사를 지내는 것이 원칙이다.

1. 수축, 지방, 점촉(修祝, 紙榜, 点燭)〔이서위상, 천원지방 (以西爲上, 天圓地方)〕
축문과 지방을 써놓고 촛불을 켠다, 〔이서위상. 천원지방〕이라함은, 서쪽을 위로 삼으며, 지방의 위쪽은 하늘처럼 둥글게 아래쪽은 땅처럼 모나게 하고, 제사나 모든 의식을 진행할때는 신위나 어른이 있는 곳을 북쪽으로 하고 제관 또는 아랫사람이 있는 곳을 남쪽으로 하고 좌측은 서, 우측은 동으로 한다.

2. 설위(設位)
영신곡을 아뢰면서 당의 북쪽에서 남향하여 신위(神位)󰡒지방󰡓을 정한다.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 신위는 서쪽에, 어머니 또는 할머니 신위는 동쪽에 정한다.

3. 진설(陳設)
1列 : 반(飯), 갱(羹), 잔(盞), 시접
양위분 기제사시는 시접을 중앙에, 반은 서쪽에 갱은 동쪽에.
2列 : 탕(湯)
탕은 홀수로, (단탕 삼탕 오탕) 면서병동(麵西餠東), 면은서쪽 떡은동쪽
3列 : 적(炙), 전(煎)
어동(魚東), 육서(肉西), 두동미서(頭東尾西).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생선머리는,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진설함.
4列 : 채(菜)
생동(生東), 숙서(熟西), 서포(西脯), 동해(東脯), 날것은, 동쪽. 익힌것은, 서쪽에. 포는 서쪽에. 젖갈류는 동쪽.
5列 : 과(果)
홍동 백서(紅東 白西),또는 조, 율, 시, 이. 붉은과일은 동쪽, 흰과일은 서쪽, 또는 대추, 밤,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 편(2005),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두산동아
- 남민이(2001), 장례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 박태호(2006), 장례의 역사, 서해문집
- 박의서(2002), 한국의 전통 장례, 도서출판 재원
- 송현동(2004), 한국 장례 연구의 경향과 과제, 한국문화인류학회
- 심의섭(2002), 한국의 경제발전과 상․장례 문화의 변화, 경제경영연구, 제21권, 제2호
- 장철수, 한국의 관혼상제, 집문당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