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한국 지석묘 연구

 1  [건축] 한국 지석묘 연구-1
 2  [건축] 한국 지석묘 연구-2
 3  [건축] 한국 지석묘 연구-3
 4  [건축] 한국 지석묘 연구-4
 5  [건축] 한국 지석묘 연구-5
 6  [건축] 한국 지석묘 연구-6
 7  [건축] 한국 지석묘 연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건축] 한국 지석묘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북방식․남방식․개석식 지석묘
1) 북방식 지석묘
2) 남방식 지석묘
3) 개석식 지석묘

3. 지상형․지하형 지석묘
1) 지상형 지석묘
2) 지하형 지석묘

4.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청동기시대의 묘제는 지석묘를 비롯한 석관묘, 토광묘, 옹관묘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묘제는 지석묘이다. 지석묘는 지상에 노출되어 있어 다른 유적보다 그 모습이 쉽게 눈에 띄어 일찍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 왔다.
이러한 성격 때문에 활발한 발굴 조사가 실시되어 왔으며, 연구 논문도 많이 발표되어 유적 자체에 대한 조사 자료의 축적 및 지석묘의 성격 규명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전된 상태다. 그러나, 지석묘의 연대․기원․사회 성격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어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의견의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석묘 형식분류에 있어서도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며, 의견의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학자에 따라 다르고, 또, 지하석실구조에 따라 다시 세분된다. 따라서, 다양한 분류기준에 의해 다양하게 분류된다고 할 수 있겠다.
여기서는 지석묘의 형식분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북방식․남방식․개석식 지석묘
우리나라 지석묘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형식의 지석묘가 있으며, 지역적으로도 크게 남북으로 갈라지기 때문에 북방식 지석묘와 남방식 지석묘로 부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북방식 지석묘는 묘실이 지상에 있으며, 남방식 지석묘는 묘실이 지하에 있다. 그리고, 남방식 지석묘 중 지석이 없는 것을 개석식으로 분류하였다.
남방식과 북방식이라는 명칭은 지역적인 명칭이므로, 이 분류기준에는 지역적인 기준과 석실위치에 따른 분류기준이 함께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1) 북방식 지석묘
북방식 지석묘는 네 개의 판석을 세워서 장방형의 석실을 구성하고 그 위에 거대하고 편평한 돌을 상석으로 올려 놓은 것으로, 유해가 매장되는 석실을 지상에 노출시키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석실의 긴 변에 세운 두 개의 지석은 거대한 상석의 무게를 직접 받고 있으므로 두꺼운 판석을 사용하고 있으며, 하부는 땅 속에 깊이 묻혀 석실 내부 바닥보다 훨씬 뿌리가 깊다. 또한, 밑뿌리의 형태는 되도록 지하에 깊이 박을 수 있도록 삼각형이나 반달형을 이루고 있다.
석실의 짧은 변에
참고문헌
김재원․윤무병 , 『한국 지석묘 연구』, 국립박물관, 1986
최몽룡․김선우 외, 『한국 지석묘 연구 이론과 방법』, 주류성, 2000
전라남도․목포대학교 박물관, 『전남의 고대 묘제』, 1996
김원룡, 『한국의 고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의 반세기』, 199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