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고려시대 군사제도의 성격

 1  [역사] 고려시대 군사제도의 성격-1
 2  [역사] 고려시대 군사제도의 성격-2
 3  [역사] 고려시대 군사제도의 성격-3
 4  [역사] 고려시대 군사제도의 성격-4
 5  [역사] 고려시대 군사제도의 성격-5
 6  [역사] 고려시대 군사제도의 성격-6
 7  [역사] 고려시대 군사제도의 성격-7
 8  [역사] 고려시대 군사제도의 성격-8
 9  [역사] 고려시대 군사제도의 성격-9
 10  [역사] 고려시대 군사제도의 성격-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 고려시대 군사제도의 성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의 군사조직

1. 중앙군

2. 지방군

Ⅱ. 고려 군사제도의 성격

1. 부병제설
1) 부병제설에 대하여
2) 부병제설에 대한 비판과 문제점

2. 군반씨족제설
1) 군반씨족제說에 대하여
2) 군반씨족제설에 대한 批判과 문제점

3. 경·외군혼성제설

Ⅲ. 결 론
본문내용
Ⅰ. 高麗의 軍事組織

고려는 918년 弓裔를 몰아내고 새 왕조를 開敞하여 935년 신라의 歸附를 끝으로 완전한 통일국가를 건설하기까지 군사적으로 많은 충돌이 발생하였다. 後百濟와 끊임없는 전쟁을 하였고, 북방세력과 군사적인 충돌이 잦았던 만큼 軍事組織에 커다란 관심을 두고 있었다. 고려 초기의 자치적인 지방호족의 私兵은 고려가 집권체제를 확립함에 따라 점차 중앙정부에 직속된 국군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태조는 松嶽지방의 軍事力으로 組織된 강한 直屬 部隊를 거느리고 있었는데, 이것이 後三國 統一의 중심 兵力이 되었다. 그리고 이 直屬軍隊가 근간이 되어 중앙에 2軍·6衛가 編成되었으며, 지방에는 州縣軍이 편성되었다.

1. 中央軍
中央軍읜 2군과 6위의 8개 부대로 편성되었다. 2군은 국왕의 친위대인 鷹揚軍(응양군)과 龍虎軍(용호군)으로 이를 近仗(근장)이라고도 불러 6위보다 우위에 있었다. 6衛는 左右衛(좌우위), 神號衛(신호위), 金吾衛(금오위), 興威衛(흥위위), 天牛衛(천우위), 監門衛(감문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成宗 14년(955)에 組織된 것으로 추측된다. 그 중 핵심이 되는 것은 左右衛·神號衛·興威衛의 3衛로서 이들은 개경의 경비뿐 아니라 國警防禦의 任務까지 맡은 경군의 주력부대였다.
2軍·6衛는 모두 1千 명의 軍人으로 組織된 領으로 構成되어 있었다. 領은 병종(兵種)에 의하여 保勝(보승)·精勇(정용)·役領(역령)·常領(상령)·海領(해령)·감문위령(監門衛領)등으로 구분되었는데 도합 45領이 있었으므로 高麗의 경군(京軍)은 모두 45,000명이 되는 셈이다. 그러나 平常時에는 결원이 많아 이보다 훨씬 적었고, 非常時에는 그 수가 증가하여 오히려 이 보다 많은 편이었다.
참고문헌
邊太燮 (三英社, 2000)
李基白 (一朝閣, 1997)
朴龍雲 (一志社, 1999)
(국사편찬위원회, 199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