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

 1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1
 2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2
 3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3
 4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4
 5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5
 6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6
 7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7
 8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8
 9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9
 10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10
 11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11
 12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12
 13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13
 14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학]한국의 초기 불교 전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언

2. 불교 전래의 배경과 여건

3. 불교의 전래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4. 삼국 불교의 전개 및 전교활동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5. 결 어

본문내용
1. 序 言
불교가 전래된 이후에 여러 시대를 거치며, 印度佛敎·中國佛敎와는 다르게 한국 불교로서 오늘날까지 지속·발전을 하여왔다. 그 만큼 불교는 긴 역사를 갖고 있으면서 한국의 思想史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初期 佛敎에 대해서는 정확한 역사서술이 어렵다.
이는 古代史의 限界라고 볼 수 있는 자료의 부족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그래서 불교가 전래될 당시의 過程과 時期 등에 있어서 학자들간의 견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소수림왕 2년(372)에 前秦王 符堅의 使臣과 함께 승려 順道가 佛像·佛經을 갖고 高句麗로 들어왔던 시기를 佛敎 初傳 年度로 보는 것이 通說이다. 그러나 東晋의 支遁이 高句麗 道人(승려)에게 써 보낸 편지가 남아 있다(『梁高僧傳』참조)는 것을 근거로 順道의 전도가 과연 初傳이었을까하고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도 있다. 위와 같은 불교 전래에 관한 내용을 본문에서 다뤄보고자 한다.
그리고 불교는 外來宗敎로서 처음 전래되고 난 후에 土着化 과정에서 어려움(土着宗敎와의 葛藤)이 있었다. 그러나 국가적 차원에서 이를 받아들이고, 寺刹建立·僧侶의 養成 등이 불교의 土着化에 한 몫을 하였다. 이 글에서는 불교가 전래된 이후 土着化하는 過程과 불교를 받아들이는데 삼국이 어떠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는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삼국에서 받아들인 불교가 어떠한 형태로 傳敎活動을 해나가며, 삼국이 통일한 이후 불교는 어떠한 변화·발전을 하게 되는가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