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

 1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1
 2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2
 3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3
 4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4
 5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5
 6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6
 7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7
 8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8
 9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9
 10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10
 11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11
 12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12
 13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13
 14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철학] 조선시대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조선전기 교육제도

Ⅲ.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Ⅳ.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Ⅴ. 성리학(=정주학, 주자학)

Ⅵ. 실학사상과 교육

Ⅶ. 결론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조선은 유교, 곧 성리학의 철학적 이론으로 무장된 도학을 국가이념으로 받아들이고, 불교에 대한 억압정책을 실행하였다. 특히 조선 초기 이래로 역대 임금들은 유교이념에 입각하여 사회제도를 전면적으로 정비하였고 세종 때에는 유교적 국가의례와 제도를 정비했으며, 유교적 교과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유교사회의 기틀을 확립하였다.
지금부터 조선시대 초기를 중심으로 한 교육제도 및 사상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조선시대의 교육사상에 대해서 함께 논의해야 할 점들을 생각해 보도록 하자.

Ⅱ. 조선전기 교육제도

1. 조선시대 교육이념과 목적
(1) 교육이념
유교의 목표는 현실적인 수기치인, 즉 수신·재가·치국·평천하에 있다. 수기치인을 좀 더 분명히 말하면 학문·수신·교육·정치라고 말할 수 있는데, 학문과 수신은 수기에 속하고, 교육과 정치는 치인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기는 유교의 윤리설이고, 치인은 정치설이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성현을 본받아 이를 배우기 위하여 존양에 힘쓰고 궁리에 열중하는 것이니, 결국 성리학이란 선형을 본받아 배우고 수양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2) 교육목적
①교육에 목적의 두 가지 유형
ㄱ. 성인·군자를 목표로 하는 `이상주의적 도덕파`
- 교육목적을 유교의 성인·군자의 달성을 목표로 치국평천하를 그 궁극의 이상으로 보았다.
- 조선 초기에는 교육의 현실과 이상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ㄴ.`현실주의 관료파` 경학(경학)을 배워 과거에 응시하여 관리로 등용이 유일의 목표
- 교육의 목적을 과거교육의 통한 등용으로 여겼다.
- 조선중기 이후에는 관료파의 과거 교육이 지나칠 정도로 성행하여 교육이 과거가 되었다.

2. 조선시대의 관학(국립)
조선왕조의 교육제도는 성균관·사학·향교·서원 및 서당으로 구성되었는데 이 중 성균관은 최고학부로서 고등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서울의 4학과 지방의 향교 및 서원은 중등교육을 담당했다. 그리고 각 마을 마다 설치된 서당은 초등교육을 담당하였다.
(1) 성균관
① 교육목적 :인재양성과 선현, 선성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 및 고급관리의 배출을 위함이다.② 입학자격 :생원과 진사(과거에 합격한 자)를 원칙, 미달 시 사학생도등 기타. 200명 정원
③ 교육과정 : 강독, 제술, 서법의 과정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그 내용은 주로 4서5경을
비롯한 유교의 여러 경전이다.
④ 성적의 평가 : 대통-통-약통-조통
(2) 사부학당(4학)
① 조선시대 중등관학기관으로 성균관 부속학교이다.
②교육목적 : 내용방법 성균관과 유사하나 수준 낮고, 부속학교 성격을 가진다.
③입학대상 : 양반집 자제와 민중자제 중 뽑힌 자, 정원 각 학에 100명

④ 특징
- 문묘를 갖지 않은 점이 성균관이나 향교와 다르다
- 교원을 30개월 장기 근속시키는 교관구임법(근속법) 시행 한다.
- 국가로부터 감독 받고, 기숙사 제도, 학비 국가에서 지급하는 관급이다.
- 소학을 필수과목으로 가르쳤다
(3) 향교
① 국가에서 세웠지만 지방 공립학교의 성격(성균관의 축소형)
② 설립목적 : 성현에 대한 제사, 지방유생의 교화, 관리진출의 수단
③ 교육과정 : 소학, 사서삼경이 중심내용, 대부분 과거에 필요한 유교의 경서들
④ 특징
- 농업과 잠업에 대한 서적이 사용된 점으로 약간의 실업교육이 병행되었다
- 향교교관 국가에서 파견하는 교수관과 훈도관, 부족시 생원, 진사자격 가진 교도학장은 정식관리가 아닌 임시직이었다.
- 향교교생 과거응시 자격과 생원, 진사의 초시 면제, 부역 군역 면제되었다.
(4) 잡과교육
① 관아에서 실시한 실업, 기술 교육을 한다.
② 형식적인 교육기관이 없이 주무관청에서 교육실시 한다.
③ 잡과과거는 예부담당이 아닌 주무관청에서 주관한다.

3. 조선시대의 사학(사립)
참고문헌
『교육사상사』, 정호표 , 교육과학사, 2001
『교육사상사』, 신득렬, 학지사, 2000
『교육사상사』동양편, 학지사, 1997
, 敎育과 倫理 1992 延世國民倫理硏究會 , 5집
, 韓國學論集 1997 啓明大學校 韓國學硏究所 , 24집
『 한국 실학사상 연구 : 실학사상의 철학적 체계와 종교적 신념을 엿볼 수 있다, 금장태 ,한글학술정보, 200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